대체 텍스트(Alt Text)란? 이미지에 꼭 필요한 이유와 SEO 효과까지

대체 텍스트(Alt Text)는 웹 접근성과 SEO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핵심 요소입니다. 대체 텍스트의 정의부터 작성 팁, 검색 최적화 효과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Han Jang's avatar
Apr 22, 2025
대체 텍스트(Alt Text)란? 이미지에 꼭 필요한 이유와 SEO 효과까지

대체 텍스트란 무엇이며 SEO에 왜 중요한가?

💡

이미지 대체 텍스트(alt text)란 HTML img 태그의 alt 속성에 지정하는 설명 문구로, 시각적으로 이미지를 볼 수 없을 때 대신 나타나는 텍스트입니다 .

주로 화면 낭독기 등 보조기기를 위한 웹 접근성 목적으로 도입되었지만, 검색엔진 크롤러도 이미지를 이해하기 위해 대체 텍스트를 활용합니다. 사람 눈으로는 이미지를 보고 내용을 알 수 있지만 검색 엔진은 이미지 파일 자체를 완벽히 해석하지 못하기 때문에, 대체 텍스트를 단서로 이미지를 파악하고 색인합니다.

그 결과 적절한 대체 텍스트는 이미지 자체의 검색 노출뿐만 아니라 웹페이지의 SEO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실제로 대체 텍스트는 페이지에 포함된 텍스트의 일부로 간주되어 일반 웹 검색 랭킹에도 일부 기여하며, 이미지 검색 결과에서는 핵심적인 랭킹 요소로 작용합니다

검색엔진 최적화(SEO) 관점에서 대체 텍스트의 가장 큰 이점은 관련 키워드로 이미지를 검색엔진에 노출시켜 추가 트래픽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제품 사진에 제품명을 대체 텍스트로 담아두면, 사용자가 그 제품명을 검색했을 때 구글 이미지 검색 결과에 해당 이미지가 나타나고 웹사이트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대체 텍스트는 이미지와 연관된 텍스트로서 페이지의 내용 주제를 보강해 주는데, 이는 검색엔진이 페이지를 더 정확히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다만 대체 텍스트 하나만으로 페이지의 전체 SEO 순위를 극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대체 텍스트는 분명 보조 기능이지만, 접근성과 이미지 검색 최적화 측면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중요한 최적화 요소인 것은 분명합니다 . 특히 이미지 중심의 콘텐츠를 운영한다면 대체 텍스트 최적화를 통해 추가 검색 트래픽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신경 써야 합니다 . 그리고 만약 이미지에 하이퍼링크가 걸려 있을 경우, 대체 텍스트는 해당 링크의 앵커 텍스트(anchor text) 역할까지 수행하므로 SEO에 더욱 중요합니다 . 요약하면, 대체 텍스트는 사이트 SEO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적절한 설명과 키워드를 담은 대체 텍스트를 통해 접근성 개선과 검색 트래픽 증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습니다.

SEO를 고려한 대체 텍스트 작성 케이스

대체 텍스트는 작성 방법에 따라 효과가 극대화되기도 하고, 잘못 쓰면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도 있습니다. 아래에 SEO와 접근성 모두를 만족시키는 대체 텍스트 작성 모범 사례와 주의사항을 정리합니다:

1. 이미지 내용을 구체적으로 묘사

대체 텍스트는 해당 이미지가 무엇을 보여주고 있는지 핵심을 전달해야 합니다. 가능한 한 짧고 간결하게 이미지의 핵심 정보를 요약하세요 . 사진이나 그림이 무엇(객체)이고 어떤 상태(동작/특징)인지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제품 이미지라면 단순히 “휴대폰” 대신 “검은색 테두리의 최신형 스마트폰 모델X 전면 모습”처럼 상세히 적습니다. 단, 지나치게 장황하게 작성하지 말고 한두 문장 이내의 분량으로 요점을 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 페이지 맥락과 일치하도록 작성

대체 텍스트는 이미지 주변 내용 및 페이지 주제와 논리적으로 이어져야 합니다 . 해당 페이지에서 이미지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려는 메시지와 어긋나지 않게 대체 텍스트를를 적습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 글에서 통계를 보여주는 차트 이미지가 있다면, 대체 텍스트에 그 이미지의 수치 요약을 포함하거나 “2025년 분기별 매출 변화 차트”처럼 맥락을 반영합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물론 검색엔진도 이미지와 페이지의 연관성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3. 관련 키워드 활용 (자연스럽게)

대체 텍스트에 해당 페이지나 이미지와 관련된 키워드를 넣는 것은 SEO에 도움이 됩니다 . 예컨대 여행 블로그에서 파리 에펠탑 사진이라면 “파리 에펠탑 야경”처럼 중요한 키워드를 대체 텍스트에 포함시키세요. 다만, 키워드 삽입은 어디까지나 자연스러운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검색엔진은 과도한 키워드 나열(Keyword stuffing)을 오히려 스팸으로 간주하므로 , 대체 텍스트에 의미 없이 키워드만 열거해서는 안 됩니다. 핵심 키워드 1~2개를 이미지 설명 흐름 속에 녹여내는 방식이 좋습니다.

4. 불필요한 단어 배제

이미지를 묘사할 때 “~의 이미지”, “사진:” 등의 불필요한 표현은 쓰지 않습니다 . 스크린리더는 이미지 태그를 만나면 자동으로 “그래픽” 또는 “이미지”임을 알려주기 때문에 대체 텍스트에 다시 “사진”이나 “그림”이라고 쓸 필요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대체 텍스트 를 "풍경 이미지"라고 하기보다는 "저녁 노을이 진 바다 풍경"처럼 바로 내용을 서술하세요. 마찬가지로 블로그 포스트 등에서 이미지에 캡션이 따로 있는 경우, 대체 텍스트에 캡션과 중복되는 내용을 그대로 쓸 필요는 없습니다. 대신 캡션을 보완하는 수준에서 대체 텍스트를 작성하면 좋습니다.

5. 텍스트가 포함된 이미지의 대체

만약 이미지 안에 문자가 포함되어 있다면 (예: 인포그래픽, 로고의 슬로건 등), 대체 텍스트에 그 문구를 그대로 적거나 요약해야 합니다 . 이는 접근성을 위해 필수적이며 SEO 측면에서도 이미지의 의미를 정확히 전달합니다. 예를 들어 이벤트 홍보 배너 이미지에 “50% 할인”이라는 글자가 있다면 대체 텍스트에 “50% 할인 행사 배너”라고 명시하여 사용자와 검색엔진 모두 해당 정보를 놓치지 않도록 합니다.

6. 장식용 이미지에 대한 처리

웹 디자인 요소로 쓰인 의미 없는 이미지(예: 배경 무늬, 구분선 등)에는 대체 텍스트 속성을 비워두거나 (alt="") 아예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이런 이미지는 내용 전달과 무관하므로 검색엔진에도 색인되지 않게 처리하여 크롤링 효율을 높이고, 화면낭독기 사용자에게도 불필요한 읽기를 피할 수 있습니다. 단, HTML 상으로 <img>를 사용하면서 대체 텍스트를 아예 넣지 않으면 일부 구형 보조기기가 이미지 경로를 읽어버릴 수 있으므로, 장식 이미지에는 alt=””처럼 빈 값을 넣어주는 것을 권장합니다. (CSS 배경이미지는 대체 텍스트 속성이 없으므로 특별히 신경쓸 필요 없습니다.)

사례 유형

Alt 텍스트 예시 (코드)

설명

나쁜 예: 누락

<img src="puppy.jpg" alt="">
(또는 alt 속성 자체가 없음)

대체 텍스트 없음.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전혀 제공되지 않은 상태로, 검색엔진과 사용자는 해당 이미지의 의미를 알 수 없습니다. 크롤러는 이 이미지를 색인하더라도 의미를 추론하기 어려워 가치를 부여하지 못하며, 시각장애 이용자에게는 아무 정보도 전달되지 않습니다 .

나쁜 예: 키워드 나열

<img src="puppy.jpg" alt="강아지 개 아기 강아지 멍멍이 애완견 새끼 강아지 리트리버 래브라도 울프하운드 세터 포인터 강아지 잭 러셀 테리어 강아지 개 사료 저렴한 개 사료 강아지 먹이"/>

키워드 채우기(스팸).
관련 단어들을 열거해 놓았지만 이미지의 구체적 내용은 전달하지 않습니다. 이런 식의 대체 텍스트는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고, 검색엔진에도 스팸 신호로 인식되어 색인에서 무시되거나 페널티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실제로 구글은 이러한 대체 텍스트는 읽지 않고 건너뛰기 때문에 SEO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좋은 예: 최소 설명

<img src="puppy.jpg" alt="강아지"/>

간단한 설명.
이미지의 주제를 한 단어로 표현했습니다. 이 정도로 대체 텍스트를 제공하는 것은 아예 없는 것보다는 낫고, 크롤러에게 이 그림이 “강아지” 관련 이미지임을 알려줄 수 있습니다 . 다만 구체성이 부족하여 어떤 강아지 사진인지, 맥락이 무엇인지는 전달되지 않으므로 필요한 정보만 최소한으로 준 수준입니다.

가장 좋은 예: 구체적 묘사

<img src="puppy.jpg" alt="가져오기 놀이를 하는 새끼 달마시안"/>

구체적인 묘사.
이미지의 품종(달마시안), 나이(새끼), 행동(가져오기 놀이)까지 정확히 설명하여 이미지의 내용과 맥락이 한눈에 이해됩니다 . 이러한 대체 텍스트는 화면낭독기 사용자에게도 유용하고, 검색엔진에는 “달마시안 새끼”, “가져오기 놀이” 등 관련 키워드 신호를 주어 이미지 검색 랭킹에도 긍정적입니다. 이처럼 짧지만 핵심을 찌르는 묘사가 최상의 대체 텍스트라 할 수 있습니다.

위 예시들을 참고하여, 항상 실제 사람 독자가 있다고 생각하고 대체 텍스트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성 후에 직접 읽어보았을 때 부자연스럽거나 정보가 부족하면 다시 다듬으세요. 자연스럽고 맥락에 맞는 대체 텍스트는 이미지를 대신하여 정보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검색엔진에도 신뢰할 만한 메타정보로 활용됩니다.

Sha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