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블로그 대시보드 사용 가이드: 블로그 설정, 에디터 사용법, 문의폼 관리 및 리드 생성까지

인블로그 대시보드에 대한 사용법을 안내합니다. 블로그 초기 설정 방법, 에디터 사용법, 온페이지 SEO 설정, 문의 폼 생성과 관리, 그리고 수집된 리드를 확인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inblog Team's avatar
Oct 31, 2025
인블로그 대시보드 사용 가이드: 블로그 설정, 에디터 사용법, 문의폼 관리 및 리드 생성까지

1. 블로그 설정하기

1.1. 기본 설정

왼쪽 사이드바에서 "블로그 설정"을 클릭하면 별도의 코딩 작업 없이 블로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 설정

설정 탭 > 제목, 설명 섹션
  • 블로그 제목 & 소개글:
    블로그의 제목과 소개글을 정의합니다. 입력된 값은 <title><meta name=”description” content=”…” />에 자동 반영되니 비워두지 마시고 반드시 입력해주시길 바랍니다.

설정 탭 > 로고, 파비콘 섹션
  • 로고 & 파비콘: 브랜드 에셋을 업로드합니다.

설정 탭 > 언어, 타임존, OG 이미지 섹션
  • 언어: 원하는 언어를 선택합니다. <html> 태그의 lang 속성에 반영되어 국가별 SEO에 도움을 줍니다.

  • OG 이미지: 링크를 LinkedIn이나 Slack 등, 외부 채널에 공유할 때 표시되는 Opengraph 이미지입니다 (권장 크기: 1200 x 630).

설정 탭 > 추천 게시글 및 프리셋 색상 섹션
  • 추천 게시글 섹션: 각 게시글의 추천 게시글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 규칙을 커스터마이징합니다.

    • 영역 이름: 추천 게시글 영역의 이름을 정의합니다.

    • 게시글 추천 규칙: 추천 게시글 필터링 규칙과 정렬 규칙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사전 설정 색상: CTA 및 기타 요소에 사용할 사전 설정 색상을 저장합니다.

1.2. 커스텀 블로그 디자인

왼쪽 사이드바에서 "디자인"을 클릭하여 블로그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합니다.

헤더

  • 좌측 상단에 표시될 로고 및 로고 클릭시 연결될 URL을 설정합니다.

  • 우측 상단의 헤더 메인 CTA의 스타일, 텍스트 및 연결할 기능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

  • 네비게이션 메뉴 레이아웃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 헤더 상단에 공지사항 표시줄을 추가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 완전히 내 웹사이트의 헤더와 동일한 헤더를 원할 경우, 커스텀 코드 기능을 활용해 코드 레벨로 편집된 헤더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배너

  • 배너 레이아웃, 배경 색상 또는 배경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 인블로그가 제공하는 기본 배너 레이아웃을 원하지 않을 경우, 커스텀 코드 기능을 활용해 코드 레벨로 편집된 배너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레이아웃

  • 3가지 기본 게시글 레이아웃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반영할 수 있습니다.

  • 기본 레이아웃 이외의 레이아웃을 원하실 경우, 커스텀 코드 기능을 활용해 코드 레벨로 편집된 레이아웃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푸터

  • 인블로그가 제공하는 기본 푸터 레이아웃을 원하지 않을 경우, 커스텀 코드 기능을 활용해 코드 레벨로 편집된 배너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추가 기능

  • 404 오류 페이지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 모바일 뷰도 디자인탭의 미리보기 화면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3. 다른 서비스와의 연동

설정 탭 > 서비스 연동 섹션

inblog는 공식적으로 Google Search Console(GSC) 및 Google Analytics(GA), Zapier와의 연동을 지원합니다.

설정 탭 > 코드 삽입 섹션

또한 코드 인젝션을 통해 Intercom, Hotjar, Amplitude, Mixpanel과 같은 서드파티 도구를 연동할 수 있습니다.

1.4. 팀원 관리하기

팀원 탭

왼쪽 사이드바에서 "팀원" 탭을 클릭하여 블로그에 팀 멤버를 추가합니다.

세 가지 사용자 역할이 있습니다:

  • 소유자(Owner):
    블로그에 대한 모든 권한을 가집니다. 모든 콘텐츠, 멤버, 블로그 설정 및 옵션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워크스페이스당 한 명의 소유자만 가능하며, 소유권 이전 기능을 통해 다른 멤버에게 소유권을 이전할 수 있습니다.

  • 편집자(Editor): 블로그 삭제 및 멤버 관리를 제외한 대부분의 블로그 설정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모든 게시글을 편집하고 발행할 수 있습니다.

  • 작성자(Author): 자신에게 할당된 게시글을 생성, 편집 및 삭제할 수 있습니다.

1.5. 콘텐츠 카테고리 설정하기

카테고리 탭

왼쪽 사이드바에서 "카테고리"를 클릭하여 블로그 게시글을 카테고리별로 정리합니다.

  • "추가"를 클릭하여 새 카테고리를 생성합니다.

  • 휴지통 아이콘을 클릭하여 카테고리를 삭제합니다 (게시글은 삭제되지 않습니다).

  • 이름 열 내에서 카테고리를 드래그 앤 드롭하여 순서를 재배열합니다.

2. 콘텐츠 작성하기

블로그 기본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
이제 가장 중요한 부분인 콘텐츠 작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1. 기본 콘텐츠 설정

왼쪽 사이드바에서 "새 게시글"을 클릭하여 새 블로그 게시글 작성을 시작합니다.

게시글 제목 (H1 태그, <title> 태그)

게시글 제목은 HTML 구조에서 자동으로 H1 태그로 지정됩니다. H1 태그는 Google 및 기타 검색 엔진이 콘텐츠의 주요 주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메타 타이틀을 별도로 설정할 경우, 제목과 별도로 <title> 태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title> 태그는 페이지 내부가 아닌, 검색 엔진 및 외부 링크에서 보여지는 제목으로 활용됩니다.

게시글 설명 (디스크립션)

게시글 설명은 자동으로 검색 엔진용 메타 디스크립션으로 사용됩니다. 검색 결과에서 페이지의 요약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클릭을 유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게시글 내부에서 보여지는 디스크립션과, 검색 엔진에 보여질 메타 디스크립션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사이드바의 "Google 검색 엔진 미리보기" 섹션에서 <title>과 <meta name=”description” />으로 설정된 메타 정보를 미리 볼 수 있습니다.

대표 이미지 (OG 이미지)

대표 이미지는 OG(Open Graph) 이미지로 설정됩니다. 이미지를 선택하지 않으면 기본 이미지가 적용됩니다.

📌 권장 크기: 1200 × 630 px (비율이 맞지 않는 이미지는 잘릴 수 있습니다).

이 이미지는 게시글을 LinkedIn과 Facebook, 등 외부 채널에 공유할 때 표시됩니다. 오른쪽 사이드바 하단의 "소셜 공유" 섹션에서 미리 볼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 설정

제목 위의 "+카테고리"를 클릭하여 카테고리를 할당합니다. 아직 카테고리를 만들지 않았다면 "카테고리 편집"을 클릭하여 설정합니다.

🔹 자동 저장이 활성화되어 있어 페이지를 나가도 콘텐츠가 손실되지 않습니다.

URL 설정

페이지 상단에서 게시글의 커스텀 URL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Google은 더 나은 SEO를 위해 사람이 읽을 수 있는 URL을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기본적으로 게시글 제목이 URL로 사용됩니다. 랭킹 패널티 없이 한글 URL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인블로그에서 제공하는 AI URL 자동 생성 기능을 활용해, 제목과 게시글 설명을 기반으로 URL을 자동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게시 날짜

디스크립션 하단의 UI에서 게시 날짜를 설정합니다.

  • 설정하지 않으면 게시글이 즉시 게시됩니다.

  • 미래 날짜로 설정하면 게시글이 예약 게시됩니다.

  • 게시글은 최신 게시글이 맨 위에 오도록 내림차순으로 표시됩니다.

추천 게시글 섹션

우측 사이드바에서 추천 게시글 섹션을 게시글별로 편집할 수 있습니다.

2.2. 콘텐츠 작성하기

inblog는 콘텐츠를 작성하는 두 가지 방법을 제공합니다: inblog 에디터와 Notion.

오른쪽 사이드바의 "에디터 유형" 드롭다운에서 원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inblog 에디터로 작성하기

오른쪽 사이드바의 "에디터 유형"에서 "inblog 에디터"를 선택합니다.

일반 에디터처럼 작동하며, "/" 명령어를 사용하여 글머리 기호, 코드 블록, 표와 같은 요소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사용 가능한 서식 옵션:

  • 제목 (H2, H3, H4)

  • 이모지

  • 글머리 기호

  • 번호 목록

  • 인용구

  • 코드 스니펫 블록

  • 구분선

  • 이미지 & 비디오

  • 버튼

  • 콜아웃 블록

  • 북마크

  • 자주쓰는 블록

  • HTML 코드 직접 삽입 블록

  • 폼 연동 (HubSpot, Tally, Google Forms, Typeform)

Notion으로 작성하기

OG 이미지 편집기 하단의 "노션 불러오기"를 선택합니다.

Notion 페이지 가져오기 단계:

  1. Notion에서 "공유" > "게시" > "웹에 게시" > "링크 복사"를 클릭합니다.

  2. inblog로 돌아와 오른쪽 사이드바의 "Notion 페이지 URL" 필드에 복사한 Notion 페이지 URL을 붙여넣습니다.

⚠️ 알아두어야 할 사항:

  • 다른 Notion 페이지로의 네비게이션은 지원되지 않습니다.

  • 이미지 캡션은 alt 태그로 변환됩니다.

  • Notion H1 → inblog H2, Notion H2 → inblog H3 형식 변환이 적용됩니다.

콘텐츠 게시하기

모든 설정이 완료되면 오른쪽 상단의 "발행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게시글을 발행합니다. 🚀

2.3. CTA 버튼 설정하기

CTA(Call to Action) 버튼 추가하기

에디터 페이지 하단에 게시글 하단에 고정할 수 있는 콜투액션(CTA) 버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CTA 버튼 추가"를 클릭하여 활성화합니다 (설정하지 않으면 CTA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 버튼 텍스트: 짧고 매력적인 메시지를 입력합니다 (2-5단어 권장).

  • 버튼 URL: 목적지 링크를 추가합니다.

  • 버튼 색상: CTA 버튼 색상을 커스터마이징합니다.

리드 폼 설정하기

오른쪽 사이드바의 "리드 폼" 섹션에서 미리 구성된 리드 폼을 선택하여 “폼” 탭에서 제작한 문의 폼을 배치해 사용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3. 리드 폼 및 리드 관리하기

3.1. 리드 폼 관리하기

왼쪽 사이드바에서 "폼"을 클릭하여 리드 폼을 관리합니다.

헤더 및 배너에 리드 폼 추가하기

  • 블로그 헤더 및 배너 섹션에서 "편집"을 클릭하여 리드 폼을 수정합니다.

  • 커스터마이징 항목:

    • 폼 설정

    • 감사 메시지

    • 폼 제출 후 이메일 응답

블로그 게시글에 리드 폼 추가하기

  • 각 게시글은 고유한 리드 폼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자세한 설정 지침은 리드 폼 가이드를 확인하세요. 😊

3.2. 리드 관리하기

왼쪽 사이드바에서 "리드"를 클릭하여 리드 폼을 통해 제출된 고객 정보를 확인합니다.

✅ 사용 가능한 기능:

  • 리드 제출 내역 확인 및 관리

  • Zapier를 통해 CRM, 뉴스레터 도구 및 기타 서비스와 연동

4. 콘텐츠 분석 (대시보드) 및 게시글 관리

4.1. 콘텐츠 분석 (대시보드)

왼쪽 사이드바에서 "대시보드"를 클릭하여 분석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인 그래프 주요 지표

  • 총 방문 수: 블로그의 총 방문자 수입니다.

  • 총 자연 유입수: Google, Naver등 검색 엔진 등(+ AI 검색) 검색 과정을 통해 유입된 방문자 수입니다.

  • 총 클릭 수: CTA 버튼을 클릭한 사용자 수입니다.

📊 방문자 및 오가닉 트래픽 추이

  • 아래 그래프에서 총 방문자 추이 및 Google 오가닉 트래픽 추이를 확인합니다.

  • 오른쪽 상단에서 날짜 범위를 조정합니다.

트래픽 및 키워드 인사이트

  • 블로그 유입 경로: 블로그 방문자가 어디에서 오는지 수치와 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구글 검색 성과 (페이지 / 키워드): 서치콘솔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활용해, 구글에서 어떠한 키워드로 유입이 되고 있는지, 어떠한 페이지가 성과가 좋은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방문 수: 키워드당 총 방문(검색엔진에서 결과를 클릭한) 수입니다.

  • 노출 수: 검색 결과에 블로그가 표시된 횟수입니다.

  • Google 순위(위치): 각 키워드에 대한 블로그의 평균 순위입니다.

📌 게시글별 분석

아래로 스크롤하여 게시글 대시보드를 확인하면 각 게시글의 다음 항목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 방문 수(페이지뷰)

  • CTA 클릭 수

  • 전환율(CVR)

Google Search Console이 연결되어 있으면 게시글별 상위 키워드와 검색 결과에서의 평균 순위도 추적할 수 있습니다.

4.2. 게시글 관리하기 (게시글 관리자)

왼쪽 사이드바에서 "게시글 관리자"를 클릭하여 Notion 스타일의 데이터 테이블에서 모든 블로그 게시글을 관리합니다.

🔹 50-100개 이상의 게시글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에 최적입니다.

Sha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