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데이터 해석 방법과 각 키워드별 액션 아이템 짜기

SEO(검색엔진최적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구글 서치콘솔 데이터를 확인하고 계실텐데요, 이 데이터를 어떻게 해석하고, 어떤 액션을 해야할지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해드립니다. SEO는 선점 효과가 큽니다. 빨리 실행하고, 경쟁사보다 앞서가세요!
Han Jang's avatar
Jun 26, 2024
구글 서치콘솔 데이터 해석 방법과 각 키워드별 액션 아이템 짜기
이전 글에서 구글 서치콘솔 활용법에 대한 가이드를 살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어떻게 서치콘솔 데이터를 해석하고, 액션 아이템을 설정해야 할까요? 아래 그림은 기본적으로 서치콘솔이 제공해주는 지표와 화면입니다.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이 지표를 통해서는 명확하게 데이터를 해석하고, 액션아이템을 짤 수 없습니다.
notion image
inblog가 제공하는 아래 그래프로 부터 데이터를 살펴보겠습니다.
Google Search Console 게재 순위별 CTR 차트
Google Search Console 게재 순위별 CTR 차트
위 그래프의 X축은 CTR(클릭률)을 의미하며, Y축은 Position(평균 게재 순위)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파란색으로 나와 있는 선 그래프는 “구글 게재 순위별 평균 클릭률”을 의미합니다. (출처) 원의 크기는 총 노출 수(Impresssions)입니다.
이 그래프를 통해 우리는 평균 게재 순위별로 성과가 좋은 키워드와 성과가 좋지 않은 키워드를 구분해서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좌측 상단: CTR boosting keywords, 게재 순위에 비해 CTR이 낮은 키워드
  • 우측 중하단: Good keywords, 게재 순위에 비해 CTR이 높은 키워드
  • 하단: Chance keywords, 게재 순위만 높이면 트래픽 잘 나올 수 있는 잠재력 키워드
좌측 상단의 CTR boosting keywords라고 표시된 구역(노란색 구역)은 성과가 좋지 않은 키워드입니다. 높은 구글 순위를 보이지만 기준보다 낮은 클릭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반면 Good keywords라고 표시된 구역(보라색 구역)은 성과가 좋은 키워드입니다. 구글 순위에 비해 굉장히 높은 클릭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렇게 현황을 살펴보았을 때, 각각의 키워드별로 어떤 액션 아이템을 설정해야할 지 알아보겠습니다.

CTR boosting keywords: 순위는 높지만, CTR이 낮은 경우

이 키워드는 가장 눈여겨 보고, 개선이 필요한 키워드입니다. 구글 게재 순위에서 1~2등을 하고 있지만, 사람들이 클릭하고 있지 않다는 의미인데요. 이런 경우, 해당 키워드의 인텐트가 콘텐츠(제목, 설명, 내용 등)와 부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로 해당 키워드를 구글에 검색해서 어떤 인텐트인지 확인하고, 그 인텐트를 만족하는 콘텐츠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개발자 연봉”이라는 키워드는 개발자가 되고 싶은 구직자가 검색하는 키워드입니다. 하지만 콘텐츠가 “개발자 연봉 협상하기”와 같은 콘텐츠라면, 클릭률이 높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사람들이 클릭하고 싶은 제목(Title)과 설명(Description)을 만드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래 그림은 실제로 구글에 검색을 했을 때 나오는 화면입니다. 검색 결과에 스니펫, 사람들이 자주 묻는 질문, 소셜 디스커션, 비디오 다음에야 2등 콘텐츠가 노출되고 있습니다. 이런 키워드에서 2~3등을 한다고 해서 클릭률이 높아지지 않는 것은 지당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왜 나의 콘텐츠가 클릭률이 높지 않은지 일일이 검색해보면서 확인해봐야 합니다. 이럴 경우, 가장 좋은 방법은 스키마 마크업을 통한 스니펫 입니다.
Google Search 예시
Google Search 예시

세 줄 요약

  • 실제로 구글에 해당 키워드 검색하기: 검색 인텐트, 검색 화면 확인
  • 클릭하고 싶은 제목과 설명 만들기 + 검색 인텐트에 맞추기
  • 스니펫을 위해 스키마 마크업 활용하기

Good keywords: 순위별 기준 CTR보다 경우

이 키워드들은 높은 클릭률과 트래픽을 가져다주는 효자 같은 키워드들입니다. 키워드와 관련하여 우리 콘텐츠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때 총 노출 수(Impression)별로 다르게 해석해야 합니다.

Impression(노출)이 높은 경우 (원 크기가 큰 경우)

이 키워드의 경우, 빠르게 인접 키워드 혹은 롱테일 키워드를 타겟한 콘텐츠를 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EO 알고리즘”이라는 키워드가 여기에 해당된다고 가정하면, “SEO 알고리즘 해석”, “SEO 알고리즘 유추” 등의 관련 있고, 사람들이 관심 있을 만한 키워드에 대한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발행해야 합니다. 또한 이 콘텐츠들은 관심도가 높은 키워드들이니 뉴스레터 혹은 소셜에 꾸준히 공유하여 노출도를 더욱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지표를 해석할 때에는 브랜드 키워드를 주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회사 이름과 서비스 이름을 inblog라고 가정하면, 이 키워드는 클릭률(CTR)이 높을 것이니 제외하고 봐야 합니다.

두줄 요약

  • 뉴스레터, 소셜 계정 등에 관련 콘텐츠 공유하기

Impression(노출)이 낮은 경우 (원 크기가 작은 경우)

이 키워드는, 빠르게 제너럴한 키워드를 타겟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니치한 키워드에 대해서는 성과를 보이고 있으니, 이 키워드에서 확장된 키워드를 타겟한 콘텐츠를 작성해야 합니다. 또한 이 키워드를 검색하는 사람들은 특정 니즈가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그 니즈를 가지고 있는

두줄 요약

  • 키워드 범위를 더 넓혀서 제너럴한 키워드를 타겟한 콘텐츠 작성하기
  • 뉴스레터, 소셜 계정 등에 관련 콘텐츠 공유하기

Chance keywords: 트래픽 잠재력 높은 키워드

5위 ~ 10위에 랭크된 키워드들은 성장 잠재력이 높은 키워드들입니다. 이미 구글 1페이지에서 노출되었지만, 낮은 순위 때문에 주목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키워들을 잘 보완한다면, 기존보다 적게는 650%부터 최대 2,100% 이상의 트래픽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총 노출 수(Impression)가 높을 수록 효과를 가장 크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 키워드의 경우는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만병통치약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초심으로 돌아가서 직접 키워드도 검색해보고, 어떤 콘텐츠들이 높은 순위권에 있는지 읽어보아야 합니다. 읽으면서 키워드 인텐트에 부합하는 콘텐츠인지, 우리 콘텐츠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과 다루고 있지 않는 내용은 무엇인지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이 키워드들의 순위를 높이는데에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성공한다면 분명 큰 성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우리 회사 서치콘솔 분석하기

그렇다면 어떻게 아래 그래프를 만들고, 각각의 키워드를 분석할 수 있을까요?
Google Search Console chart
Google Search Console chart
아래 뉴스레터 구독을 통해 새로운 서치콘솔 분석 방법을 알아보세요! 서치콘솔 분석 뿐만 아니라 자동 인덱싱 요청 + SEO audit + 키워드 리서치 등의 기능을 제공드릴 예정입니다. 지금 바로 inblog를 통해 SEO 매니저를 구독해보세요!
 
Share article
inblog 최신 소식 받아보기
RSSPowered by inbl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