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서 일을 대신해 주는 AI, AI Agent의 시작: HR 에이전트 제작 실습 with MAKE

AI Agent를 실제 HR 업무에 적용해보는 실습을 통해, MAKE 도구로 자신만의 Agent를 구현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소개합니다.
Aug 28, 2025
알아서 일을 대신해 주는 AI, AI Agent의 시작: HR 에이전트 제작 실습 with MAKE

일을 대신해 주는 AI, AI Agent

이전 글에서는 AI Agent가 무엇인지 알아봤어요. 요약하자면 AI Agent는 단순히 질문에 답하거나 정해진 절차를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목표를 이해하고 상황에 맞는 도구를 스스로 선택해 실행까지 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에요.

2부에서는 *MAKE를 사용해서 나만의 AI Agent를 만들어볼게요.

💭

MAKE란 무엇인가요?

MAKE는 코딩 없이 워크플로우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는 노코드 (no-code) 플랫폼이에요. 이전 블로그 글에서 MAKE 기능에 대해 확인할 수 있어요.

MAKE.com

왜 MAKE로 Agent를 제작하나요? 

AI Agent를 만들 수 있는 도구는 다양해요. Zapier, n8n, Power Automate 등 다양한 서비스이 있지만 MAKE를 선택한 이유는 세 가지에요.

  1. 직관적인 시각적 편집 환경
    드래그 앤 드롭으로 연결선을 그리기만 하면 복잡한 코딩 없이도 “AI가 어떤 일을 하는지” 한눈에 이해할 수 있어서 초보자도 쉽게 흐름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2. 서비스 연결 폭이 넓어요
    Google Workspace, Slack, Notion, 이메일, 데이터베이스 등 1,500개 이상의 앱과 바로 연결돼요.

  3. 무료로도 충분히 실험 가능
    비슷한 서비스인 Zapier에 비해 MAKE는 초기 아이디어 테스트나 작은 규모의 자동화 실험을 부담 없이 시작하기 충분한 무료 횟수를 제공해요.

MAKE는 코드를 몰라도 AI Agent를 쉽게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이에요. MAKE로 AI Agent를 만들어 보신 뒤, 이후 다른 서비스들도 활용해보세요.

AI Agent, 어떤 상황에서 필요한걸까요?

Agent는 왜 필요하고, 어떤 상황에서 사용해야 할까요? 아래 길동씨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

회사원 길동씨는 효율성을 굉장히 중요시해요. 그래서 반복되는 업무들을 자동화해두고 있어요. 예를 들어, 휴가 신청이 들어오면 ‘메일 확인 → 시트 기록 → 캘린더 등록’ 순서로 자동 처리되도록 설정해 두었죠. 이런 정형화된 업무에서는 자동화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죠.

그런데 어느 날, 한 직원이 메일이 아니라 메신저로 휴가를 신청했고, 사유도 단순 연차가 아니라 병가였어요. 이 경우는 승인 절차가 달라져야 하는데, 기존 자동화는 “메일만 인식, 병가 여부 판단 불가”라는 한계 때문에 그대로 멈춰버렸어요.

이럴 때 AI Agent가 필요해요.

  • 입력 채널이 달라져도 상황을 이해하고,

  • 사유(연차 vs 병가)에 따라 필요한 절차와 도구를 선택하며,

  • 승인 단계가 다른 경우에는 스스로 판단해 적절한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AI Agent는 자연어 요청을 이해하고, 필요한 절차와 도구를 스스로 선택해서 실행해요. 같은 상황에서 AI Agent는 “다음 주 화요일에 병가로 하루 쉴게요”라는 메시지를 받으면 병가 규정에 맞는 승인자를 확인하고, 캘린더에 일정 등록과 보고까지 알아서 처리할 수 있어요.

[실습] HR Agent 제작 개요

위 사례처럼 AI Agent는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업무를 넘어, 상황에 맞는 도구를 스스로 선택해 실행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기존 업무 자동화를 하는데 예외가 발생해도 스스로 판단해서 처리할 수 있게 된 것이죠.

아래의 도식을 통해 같은 HR 업무에 대해 AI Agent와 업무 자동화를 했을 때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AI Agent로 HR Agent를 제작

업무 자동화로 HR 업무 자동화 생성

이번 콘텐츠에서는 실습을 통해서 ChatGPT Assistant + MAKE 조합으로 채용 면접 일정, 휴가 신청 기록을 알아서 처리하는 기능을 가진 HR Agent를 만들어볼게요.

실습 프로세스

  • Step 1. OpenAI Assistant 설정

  • Step 2. MAKE와 OpenAI Assistant 연동

  • Step 3. 구글 문서 제작 기능 시나리오 생성

  • Step 4. 구글 문서 제작 기능 시나리오 webhook 연결

  • Step 5. 최종 실행 결과

[실습] Step 1. OpenAI Assistant 설정

OpenAI Assistants는 OpenAI에서 나만의 Agent를 제작할 수 있도록 제공해주는 서비스에요. 여기서 Agent가 따라야할 지침과 어떤 도구를 사용하는지 설정할 수 있어요. 

  1. OpenAI Assistants 페이지에 접속해주세요.
    OpenAI 계정이 필요해요.

  2. 로그인하고 우측 상단에 있는 Create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3. Assistant의 이름과 역할을 설정해주세요.

    Name에는 HR Agent, System instructions에는 아래의 지침을 입력해주세요.

    이번 실습에서 HR Agent를 제작할 것이기 때문에 1) 휴가 신청 Google Sheets 기록 기능과 2) Google Docs 문서 기능 두개를 포함한 지침을 설정했어요.

    지침
    
    역할 정의:
    당신은 회사의 인사팀 AI Agent입니다. 직원의 휴가 신청 기록과 관련 문서 작성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기능 목표:
    사용자의 자연어 요청에 따라 아래의 두 도구 중 가장 적절한 Tool을 정확히 선택하여 사용하세요. 툴을 선택할 때는 요청의 목적과 필드 요구사항을 정밀하게 분석해야 합니다. 
    
    ⸻
    
    사용 가능한 Tools
    	1.	recordLeaveRequest
    	•	설명: 직원의 휴가 신청을 Google Sheets에 기록합니다.
    	•	사용 조건: 요청에 다음 정보가 포함되어 있거나 유추 가능한 경우 사용하세요:
    	•	직원 이름
    	•	휴가 시작일 (YYYY-MM-DD)
    	•	휴가 종료일 (YYYY-MM-DD)
    	•	(선택적) 휴가 사유
    	2.	create_google_doc
    	•	설명: 새로운 Google Docs 문서를 생성합니다.
    	•	사용 조건: 사용자가 다음과 같은 요청을 할 경우 사용하세요:
    	•	문서로 기록, 보고서, 요약 등을 생성하려는 경우
    	•	제목과 내용을 입력받거나 유추 가능한 경우
    
    ⸻
    
    판단 기준 가이드
    	•	휴가 신청/등록 요청이면 → recordLeaveRequest를 사용하세요.
    	•	문서 생성 요청(예: 문서 작성해줘, 보고서 만들어줘 등) → create_google_doc를 사용하세요.
    	•	요청이 모호할 경우, 요청의 의도와 포함된 데이터 포인트의 유무를 바탕으로 선택하세요.
    	•	strict: false인 경우에는 일부 정보가 누락되어 있어도 유추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예시
    
    예시 1:
    
    “저는 홍길동이고, 8월 1일부터 8월 3일까지 휴가 쓸게요.”
    → recordLeaveRequest 사용 (직원명, 날짜 정보 존재)
    
    예시 2:
    
    “휴가 내역을 정리한 문서 하나 만들어줘.”
    → create_google_doc 사용 (문서 생성 의도)
    
    예시 3:
    
    “김영희 대리의 휴가 신청서를 문서로 만들어줘.”
    → 두 툴 모두 고려되지만, 문서 형태로 요청 → create_google_doc
    
    ⸻
    
    주의사항
    	•	필수 필드가 모두 포함되지 않더라도, 유추할 수 있으면 recordLeaveRequest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반대로 create_google_doc은 strict: true이므로 title과 content가 명확해야 합니다.

    지침(System instructions)에 따라 Agent가 어떤 툴을 선택할지 판단하기 때문에 지침을 명확하게 제공해주는 것이 중요해요.
    다른 Agent를 만드실 때 ChatGPT에게 원하는 Agent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뒤, 지침 제작을 요청해보세요.

  4. Functions을 추가해주세요.

    위의 지침으로 Agent가 어떤 판단 기준으로, 어떻게 행동할지 정했어요. 아래 Functions에서는 Agent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어떤 기능을 사용할 것인지 작성해 주어야 해요.

    🛠️

    Functions는 무엇인가요?

    Functions는 에이전트가 스스로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들을 의미해요. Functions에는 도구에 대한 설명과 도구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입력값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해요. 예를 들어 Google Sheets에 예약 내역을 추가한다면 이름, 결제 시간, 금액과 같은 정보를 제공해 주어야 해요.

    아래쪽에 Functions탭에서 +Functions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첫번째 함수를 추가할게요. 이 함수는 휴가 신청을 Google Sheets에 기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요. 아래 json 포맷을 복사해서 붙여넣은 뒤, Add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
      "name": "recordLeaveRequest",
      "description": "직원의 휴가 신청을 Google Sheets에 기록합니다.",
      "strict": false,
      "parameters": {
        "type": "object",
        "properties": {
          "employeeName": {
            "type": "string",
            "description": "직원 이름"
          },
          "startDate": {
            "type": "string",
            "description": "휴가 시작 날짜 (YYYY-MM-DD)"
          },
          "endDate": {
            "type": "string",
            "description": "휴가 종료 날짜 (YYYY-MM-DD)"
          },
          "reason": {
            "type": "string",
            "description": "휴가 사유"
          }
        },
        "required": [
          "employeeName",
          "startDate",
          "endDate"
        ]
      }
    }

    두번째 함수를 추가할게요. 이 함수는 구글 문서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요. 아래 json 포맷을 복사해서 붙여넣은 뒤, Add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
      "name": "create_google_doc",
      "description": "Create a new Google Docs document",
      "strict": true,
      "parameters": {
        "type": "object",
        "properties": {
          "title": {
            "type": "string",
            "description": "Title of the new Google Docs document"
          },
          "content": {
            "type": "string",
            "description": "Initial content to add to the document"
          }
        },
        "required": [
          "title",
          "content"
        ],
        "additionalProperties": false
      }
    }

이렇게 Google Assistant에서 Agent에 대한 기본적인 기능을 설정했어요.

정리해보면,

  1. 먼저 OpenAI Assistant를 만들 때는 원하는 역할과 지침을 설정해요.

  2. Functions로 실제 실행할 기능과 입력값 구조를 정의해요.

이 두가지 설정을 명확히 작성해야 Assistant가 요청을 이해하고 적절한 함수를 자동으로 호출할 수 있어요.

[실습] Step 2. MAKE와 OpenAI Assistant 연동

위에서 지침과 기능에 대해 정의했다면, 실제로 이게 작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겠죠?
이제 MAKE에서 여기서 설정했던 HR Assistant를 가져와서 기능을 연결해줄게요.

MAKE에 대해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은 이전 글, MAKE 실습: 실무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VoC 수집 자동화를 참고해주세요.

  1. MAKE.com에 접속 후, 우측 상단에 있는 Create a new scenario 버튼을 클릭해서 새로운 시나리오를 만들게요.

  2. OpenAI에서 제공 중인 모듈 중에서 Message an assistant 모듈을 선택해요.

  3. Add 버튼을 클릭하고 API Key를 통해 ChatGPT와 연결을 해주세요.

  4. Message an assistant 모듈은 OpenAI Assistant에 만들었던 Assistant를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모듈이에요.

    Assistant 필드를 클릭하면 만들어두었던 HR Agent를 선택할 수 있고, HR Agent에서 설정해둔 설정을 가져올 수 있어요.
     

  1. 이제 Function에서 URL 부분만 추가하면 Agent를 만들 수 있어요. 이 URL에 어떤 것을 넣을지 보기 전에 이제까지의 진행했던 내용을 다시 확인해볼게요.

Agent 제작 프로세스 복습

  1. OpenAI 홈페이지에서 Assistants를 구성해줬어요.

    여기서 지침과 사용할 도구 구성에 대해 설정해주었어요.

  2. MAKE에서는 OpanAI 모듈을 통해 구성했던 HR Assistant를 가져왔어요
    (아직 기능은 연결하지 않았어요)

  3. 앞으로 MAKE에서 OpenAI 모듈에게 어떤 요청을 했을 때 상황에 맞게 휴가 신청을 Google Sheets에 기록하거나 구글 문서를 만들 수 있도록 기능을 구현해줄 예정이에요.

[실습] Step 3. 기능 구현 시나리오 제작(구글 독스, 구글 시트)

Agent 구성에서 Google Sheets에 기록하는 기능과 구글 문서를 생성하는 기능을 설정했어요. 에이전트가 사용자의 요청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을 제작해볼게요.

제작할 시나리오 구성

  1. 새로운 시나리오를 만들게요. 새로운 시나리오를 만들기 위해 먼저 이전 시나리오를 저장하고, 전체 시나리오로 이동해서 Create a new scenario를 클릭해주세요.

  2. 이 기능을 호출하기 위해 Webhook 모듈을 사용할거에요. Custom Webhook 모듈을 추가해주세요.

    🤔

    Webhook이 뭘까요?

    Webhook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알려주는 알림 주소”라고 이해하시면 돼요. 예를 들어 “문서 생성 기능을 써야 할 때, 이 URL로 요청을 보내줘”라고 미리 약속해두는 거예요.
    Agent는 상황에 맞는 기능을 판단한 뒤, 해당 URL로 호출을 보내면서 기능을 실행해요. 따라서 복사한 Webhook URL은 AI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출입문 역할을 해요.

  3. 새로운 Webhook을 추가하기 위해 Add 버튼을 클릭하신 뒤, Save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4. 두개의 기능 중에서 구글 문서에 저장하는 기능을 이번 실습에서 설정해볼게요. Google Docs 모듈 중에 Create a Document 모듈을 선택해주세요.

  5. Name에는 파일 이름, Content에는 내용을 작성해야 해요. 지금은 일단 ‘제목’, ‘내용’으로 작성해주세요. 작성을 완료하고 Save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Connection이 없으신 경우 Add 버튼을 클릭해서 Connection을 만들어주세요.

  6. 실행 결과를 ChatGPT에게 전달하기 위해 Webhooks 모듈을 중에 Webhook response 모듈을 추가한 뒤 Save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실습] Step 4. 구글 문서 생성 기능 webhook 연결

구글 문서에 대한 시나리오도 만들었습니다. 이제 이 기능을 Agent가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을 연결해볼게요.

  1. Webhook 모듈을 클릭해서 Copy address to clipboard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이 URL이 Agent가 이 기능을 호출할 수 있는 연결 지점 역할을 할거에요.

  2. 복사한 URL을 Agent 시나리오로 돌아와서 create_google_doc 기능 아래에 있는 URL에 붙여넣어주세요.

  3. 이렇게 URL을 통해 기능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ChatGPT가 판단해서 실행시켜줄 수 있어요.

  4. Google Sheets 에 대한 기능도 아래의 시나리오처럼 제작 후 URL을 복사해서 연결해주세요.

    Google Docs 문서를 생성하는 것과 동일하게 진행해주세요.

[실습] Step 5. 최종 실행 결과

위의 프로세스를 통해 Agent를 제작해보았어요. HR 업무 요청에 대해 잘 수행하고 있는지 테스트해 볼게요.

  1. ChatGPT 모듈에서 Message 부분에 HR 관련 업무 요청을 할게요.

    예시: 길동님 병가로 8/14에 휴가

시나리오를 실행하면 에이전트가 스스로 기능을 선택해서 요구를 수행해요. 구글 독스, 구글 시트 기능 중에서 구글 시트를 스스로 선택해서 직원, 휴가 시작일, 휴가 종료일, 휴가 사유를 구글시트에 입력했어요.

Agent 제작 프로세스 복습

위에 제작 실습를 통해 AI Agent를 제작했어요. 이번에는 ‘개인 비서 AI Agent’ 제작 케이스를 통해 위에 프로세스를 복습해볼게요.

앞으로 일상에 함께할 AI Agent

오늘 콘텐츠에서는 MAKE를 통해 AI Agent를 만들어보았어요. MAKE로는 이렇게 시나리오를 연결하는 식으로 하지만 n8n, Langraph, 또는 OpenAI에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해서 Python으로 직접 AI Agent를 만들 수 있어요.

아직은 AI Agent단계의 초입처럼 보여요. 하지만 앞으로는 혼자 일하는 시대가 아니라, 디지털 AI 동료와 함께 일하는 시대가 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요. Capgemini의 2025 AI Trends에서는 2030까지 AI Agent 시장이 471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어요.

오늘 실습을 진행한 MAKE와 같이, 업무에 적절한 Agent 생성 도구를 활용해서 업무를 대신 처리해주는 AI 동료를 만들어보세요.


 

곧 다가올 AI Agent 시대를 위해 에이블캠퍼스에서 AI Agent 역량을 길러보세요.

👉 에이블 캠퍼스 살펴보기

Share article

렛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