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글 스니펫이란?
구글 스니펫이란, 구글 검색 결과 상단에 특별한 상자 형태로 나타나는 확장된 검색 결과입니다. 이는 사용자의 질문에 빠르게 대답을 제공하는 짧은 텍스트 단락으로 나타나며, 일반 검색 결과의 형식과 달리, 주로 정보를 요약하거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합니다.
2. 구글 스니펫 종류
레귤러 스니펫
레귤러 스니펫은 일반적인 구글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나타나는 표준적인 검색 결과를 의미합니다. 이는 제목, 페이지 URL, 메타 설명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레귤러 스니펫은 웹페이지의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하여 검색 결과 페이지에 표시됩니다. 가장 기본적인 스니펫을 말하며, 추가적인 구조화된 데이터가 없는 일반적인 검색 결과를 보여줍니다.
리치 스니펫
리치 스니펫은 구글 검색 결과 페이지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검색 결과에 추가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형태입니다. 일반적인 검색 결과는 제목, 설명, URL을 표시하지만 리치 스니펫은 표, 평가, 제품 가격 등의 데이터를 더 세부적으로 보여줄 수 있어 사용자에게 풍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피처드 스니펫
피처드 스니펫은 구글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특정 쿼리에 대한 정보를 먼저 요약하여 제공합니다. 이는 단순한 텍스트뿐 아니라 표, 리스트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정보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피처드 스니펫은 사용자에게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제공하여 검색 경험을 향상시키며,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높은 가시성을 제공합니다.
정보성을 제공해야하는 B2B Saas 기업에게는 피처드 스니펫이 가장 적합할 것 같습니다. 구글 피처드 스니펫에 선정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2가지에 대해 알아봅시다.
3. 검색 의도에 맞는 양질의 답변 제공
피처드 스니펫은 구글이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가장 정확하게 충족하는 페이지를 선정하여, 해당 페이지의 내용을 요약적으로 보여주는 특별한 검색 결과 형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맞는 정확한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각 키워드는 검색의도가 있기 때문에 그에 맞춰 사용자가 원하는 양질의 답변을 제공할 때, 피처드 스니펫 노출의 가능성이 커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키워드별 검색의도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가장 빠른 방법은 타겟 키워드를 구글에 검색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구글에 “backlink”라고 검색해봅시다.
검색 결과에 나온 웹페이지들이 주로 어떤 것을 다루고 있는 걸까요? 주로 백링크가 무엇인지에 대한 웹페이지들이 보입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backlink” 키워드의 주요 검색의도는 백링크에 대한 정의를 알고 싶어 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만약, “backlink checker”라고 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대부분 툴에 대한 웹페이지들이 나옵니다. 즉, “backlink checker” 키워드의 검색 의도는 백링크 체커라는 툴을 찾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국, 키워드의 검색 의도를 파악하여 명확하고 니즈에 맞는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피처드 스니펫으로 선정되는 핵심 조건 중 하나입니다.
4. 스키마 마크업 적용
구글 스니펫에 선정되기 위한 2번째는 해당 웹페이지에 스키마 마크업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스키마 마크업이란, 검색 엔진이 웹페이지의 콘텐츠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도움을 주는 코드 조각입니다.
스키마 마크업은 기본 HTML + 구조화된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기본 HTML은 작성된 웹페이지의 기본 코드를 말하지만, 의미가 부여되지 않습니다. 이때 기본 코드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구조화된 데이터입니다.
구조화된 데이터란, 해당 페이지의 내용을 검색엔진이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특별한 코드를 추가하여 삽입하는 일을 말합니다. 웹페이지에 구조화된 데이터까지 적용이 되어야 구글 스니펫에 선정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스키마 마크업 적용 방법
참고로, 직접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 환경이라고 가정하고, 스키마 마크업 적용하는 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4.1 구조화된 데이터 마크업 종류 선택
Google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마크업 종류 중에서 어떤 종류의 스니펫 형태로 보여줄지 선택합니다.
4.2 코드 작성
각 구조화된 데이터 마크업 종류에 맞게 코드를 작성합니다. 코드 작성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구글에서는 JSON-LD 방식을 추천합니다.(세부 내용은 개발과 연관된 부분이라 여기서는 생략하겠습니다.)
4.3 구조화된 데이터 테스트
리치 검색결과 테스트 또는 스키마 마크업 유효성 검사 도구를 활용해, 코드가 맞는지 확인합니다.
4.4 웹사이트에 코드 반영
테스트 결과, 코드가 맞다면 해당 웹페이지가 발행된 시점에 코드를 삽입합니다.
Sha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