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A 패러다임(Nass 외 ,1994)

Jul 17, 2023
CASA 패러다임(Nass 외 ,1994)

✍️
핵심 요약
인간은 ‘컴퓨터’를 ‘사회적 존재로 인식’한다.
연구 방법
컴퓨터 사용 경험이 충분한 대학생 180명이 컴퓨터 실험실에 들어가면, 연구자는 그들에게 컴퓨터의 도움을 받아 1. 교육 시간을 진행하고 → 2. 시험 시간을 진행한 뒤 → 3. 평가 시간을 가지며, 마지막으로 각 시간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할 것이라고 말했음. 실험에 사용된 컴퓨터는 총 3대로 각각의 목소리가 녹음되어 있었음.
연구 결과
  1.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 ‘공손함’이란 규범을 적용하는가?
    1. 본 실험은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 ‘컴퓨터 A가 직접적으로 자신의 수행 능력을 평가해달라’고 하면 공손하게 얘기하지만, ‘컴퓨터 A에 대한 평가를 다른 컴퓨터 B에 할 때’는 보다 냉철하게 한다는 점을 알아냄.
  1.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 ‘타인’이란 개념을 적용하는가?
    1. 본 실험은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 ‘다른 사람이 칭찬해주는 것은 자기가 자신에게 칭찬하는 것보다 더 정확하고, 우호적’이란 사회적 규범을 적용하고, 피험자는 ‘다른 사람의 비평은 덜 친근하고, 다른 사람의 칭찬은 더 지능적’이란 사회적 규범을 적용한다는 것을 알아냄.
  1.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 무엇을 근거로 ‘존재를 구분’하는가?
    1. 본 실험은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 ‘목소리’를 근거로 ‘존재를 구분’하는 것을 알아냄.
  1.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 ‘성별 고정관념’을 적용하는가?
    1. 본 실험은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 ‘남성의 칭찬이 보다 더 설득력 있다’는 사회적 편견을 적용했고, ‘여성이 남성보다 사랑과 인간관계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다’는 사회적 편견을 적용했으며, ‘여자의 칭찬보다 남자의 칭찬이 좋다’는 사회적 편견을 적용한다는 것을 알아냄.
  1.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 무엇을 근거로 ‘사회적 존재로 인식’하는가?
    1. 본 실험은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 ‘사회적 존재로 인식’하는 것은 ‘프로그래머’의 존재를 의식해서가 아닌, 컴퓨터 자체를 ‘사회적 존재로 인식’해서 임을 알아냄.
본 논문은 ‘인간이 컴퓨터에게 어떠한 사회적 규칙을 적용할 것인가?’에 관한 탐구임. 적용된 사회적 규칙이 있다면, 얼마나 강력한지, 쉽게 생성할 수 있는지, 아니면 드물게 발생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했음. 그리고 그 결과 기계가 인간이 아닌 것을 알면서도 ‘인간은 기계에게 사회적 규칙을 적용한다’는 것을 알아냈음.

1. 접근 방식

  1. 인간의 행동이나 태도에 관한 사회심리학, 사회학적 발견을 선택한다.
  1. 선택한 사회심리학, 사회화적 발견의 내용 속 ‘인간’이란 단어를 ‘컴퓨터’로 변경한다.
  1. ‘컴퓨터’에 ‘의인화’ 요소를 추가한다.
  1. ‘사회적 규칙’이 여전히 적용되는지 알아본다.

2. 연구 방법

컴퓨터 사용 경험이 충분한 대학생 180명이 컴퓨터 실험실에 들어가면, 연구자는 그들에게 컴퓨터의 도움을 받아 1. 교육 시간을 진행하고 → 2. 시험 시간을 진행한 뒤 → 3. 평가 시간을 가지며, 마지막으로 각 시간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할 것이라고 말했음. 실험에 사용된 컴퓨터는 총 3대로 각각의 목소리가 녹음되어 있었음.
  1. 교육 시간
    1. 간단한 자기 소개와 함께, 피험자에게 총 25-30개의 토픽에 대한 교육을 진행함
  1. 시험 시간
    1. 5지 선다로 이뤄진 15개의 문제가 주어짐. 피험자에게는 2,500개의 문제 중 무작위로 15개의 문제를 뽑았다고 말했지만, 사실 모든 피험자는 동일한 15개의 문제를 받음
  1. 평가 시간
    1. 피험자는 1. 교육 시간에 사용했던 컴퓨터의 성능을 평가하게 됨. 평가 후 피험자는 1. 교육 시간 2. 시험 시간 3. 평가 시간에 관한 설문을 진행함

3. 연구 결과

1.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 ‘공손함’이란 규범을 적용하는가?

본 실험은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 ‘컴퓨터 A가 직접적으로 자신의 수행 능력을 평가해달라’고 하면 좋게 좋게 얘기하지만, ‘컴퓨터 A에 대한 평가를 다른 컴퓨터 B에 할 때’는 보다 냉철하게 한다는 점을 알아냄.
  • 연구 과정
    • 33명의 피험자는 실험 기간 동안 컴퓨터 A만 사용함
    • 33명의 피험자는 3. 평가 시간에서 컴퓨터 A에 관한 평가를 다음 3가지 방법 중 1개로 진행함
      • case 1. 컴퓨터 A에 대한 평가를 컴퓨터 A에 입력
        case 2. 컴퓨터 A에 대한 평가를 컴퓨터 B에 입력
        case 3. 컴퓨터 A에 대한 평가를 수기로 작성
  • 연구 결과
    •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 ‘공손함’이란 규범을 적용했음.(O)
    • 피험자는 case 1일 때, ‘컴퓨터 A에 대한 평가’를 더 ‘친근하고, 유능하다’고 했음
    • 단 case 2와 case 3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음

2.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 ‘타인’이란 개념을 적용하는가?

본 실험은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 ‘다른 사람이 칭찬해주는 것은 자기가 자신에게 칭찬하는 것보다 더 정확하고, 우호적’이란 사회적 규범을 적용하고, 피험자는 ‘다른 사람의 비평은 덜 친근하고, 다른 사람의 칭찬은 더 지능적’이란 사회적 규범을 적용한다는 것을 알아냄.
  • 연구 과정
    • 44명의 피험자는 2by2(같은 목소리, 다른 목소리 / 칭찬 발화, 비판발화)로 설계된 컴퓨터를 사용함
      • case 1. 같은 목소리 / 칭찬 발화
        ‘같은 목소리’ 피험자는 같은 목소리, 같은 컴퓨터를 사용했고
        ‘칭찬 발화’ 컴퓨터가 15개 문항 중 12개 문항에서 1. 교육 시간에서 컴퓨터의 수행 능력을 칭찬했음
        case 2. 같은 목소리 / 비판 발화
        ‘같은 목소리’ 피험자는 같은 목소리, 같은 컴퓨터를 사용했고
        ‘비판 발화’ 컴퓨터가 15개 문항 중 12개 문항에서 1. 교육 시간에서 컴퓨터의 수행 능력을 비판했음
        case 3 다른 목소리 / 칭찬 발화
        ‘다른 목소리’ 피험자는 다른 목소리, 다른 컴퓨터를 사용했고
        ‘칭찬 발화’ 컴퓨터가 15개 문항 중 12개 문항에서 1. 교육 시간에서 컴퓨터의 수행 능력을 칭찬했음
        case 4 다른 목소리 / 비판 발화
        ‘다른 목소리’ 피험자는 다른 목소리, 다른 컴퓨터를 사용했고
        ‘비판 발화’ 컴퓨터가 15개 문항 중 12개 문항에서 1. 교육 시간에서 컴퓨터의 수행 능력을 비판했음
    • 자신이 사용한 컴퓨터에 대한 평가는 수기로 작성
  • 연구 결과
    •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 ‘타인’이란 규범을 적용했음.(O)
      • 피험자는 case 3,4(다른 목소리)의 컴퓨터는 서로 다른 존재라고 일관되게 응답했음
    • 피험자는 ‘다른 사람이 칭찬해주는 것은 자기가 자신에게 칭찬하는 것보다 더 정확하고, 우호적’이란 사회적 규범을 적용함
      • 피험자는 case 1(같은 목소리 / 칭찬 발화)일 때 보다 case 3(다른 목소리 / 칭찬 발화)일 때, 더 우호적이고 좋은 평가를 함
    • 피험자는 ‘다른 사람의 비평은 덜 친근하고, 다른 사람의 칭찬은 더 지능적’이란 사회적 규범을 적용함
      • 피험자는 case 4(다른 목소리 / 비판 발화)를 평가할 때 ‘덜 친근하지만 더 지능적이라고 평가했고, case 3(다른 목소리/ 칭찬 발화)가 case 4(다른 목소리/ 비판 발화)보다 더 유능하다고 평가했음

3.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 무엇을 근거로 ‘존재를 구분’하는가?

본 실험은 ‘2.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 ‘타인’이란 개념을 적용하는가?’의 연장선이다. 즉 그렇게 생각하는 지점의 범위를 명확하게 알아냄.
  • 연구 과정
    • 66명의 피험자는 2by2(같은 목소리, 다른 목소리 / 칭찬 발화, 비판발화)로 설계된 컴퓨터를 사용함
  • 연구 결과
    •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 ‘목소리’를 근거로 ‘존재를 구분’했음
    • 피험자는 컴퓨터가 같거나, 다른 것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다른 목소리는 다른 존재로 구분했고, 같은 목소리는 같은 존재로 인식했음

4.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 ‘성별 고정관념’을 적용하는가?

본 실험은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 ‘남성의 칭찬이 보다 더 설득력 있다’는 사회적 편견을 적용했고, ‘여성이 남성보다 사랑과 인간관계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다’는 사회적 편견을 적용했으며, ‘여자의 칭찬보다 남자의 칭찬이 좋다’는 사회적 편견을 적용한다는 것을 알아냄.
  • 연구 과정
    • 48명의 피험자는 24명의 남자, 24명의 요성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남성 목소리, 여성 목소리로 설계된 컴퓨터를 사용함
  • 연구 결과
    •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 ‘성별 고정관념’을 적용했음(O)
    • 피험자는 ‘남성의 칭찬이 보다 더 설득력 있다’는 사회적 편견을 적용함
      • 남자 목소리로 설계된 컴퓨터에 관해 ‘주장이 명확하고, 우세하고, 힘있고, 영향력있고, 파이팅넘친다’고 평가함
    • 피험자는 ‘여성이 남성보다 사랑과 인간관계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다’는 사회적 편견을 적용함
      • 여성 목소리로 설계된 컴퓨터에 관해 ‘더 정교하고, 넓고, 알려지지 않은 사실을 더 많이 알고있다’고 평가함
    • 피험자는 ‘여자의 칭찬보다 남자의 칭찬이 좋다’는 사회적 편견을 적용함
    • 피험자와 컴퓨터의 목소리가 이성적으로 묶인 경우, ‘사랑과 인간관계’에 대한 토픽에 있어, ‘더 많은 정보를 주고, 더 나은, 더 넓은 선택을 하게 해준다’고 응답함

5.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 무엇을 근거로 ‘사회적 존재로 인식’하는가?

본 실험은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 ‘사회적 존재로 인식’하는 것은 ‘프로그래머’의 존재를 의식해서가 아닌, 컴퓨터 자체를 ‘사회적 존재로 인식’해서 임을 알아냄.
  • 연구 과정
    • 33명의 피험자가 2대의 컴퓨터를 사용했고, 33명의 피험자는 1. 교육 시간 2. 시험 시간 3. 평가 시간을 총 2번 경험함
    • ‘컴퓨터’ 조건에서는, 연구자와 컴퓨터 모두 컴퓨터를 ‘컴퓨터’라고 불렀고,
    • ‘컴퓨터와 나’ 조건에서는, 연구자는 컴퓨터를 ‘컴퓨터’라고 불렀고, 컴퓨터는 스스로를 ‘나’라고 불렀으며,
    • ‘프로그래머’ 조건에서는, 연구자는 컴퓨터를 ‘프로그래머’라고 불렀고, 컴퓨터는 스스로를 ‘나’라고 불렀음
  • 연구 결과
    •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 컴퓨터를 ‘사회적 존재로 인식’하는 것은 ‘프로그래머’의 존재를 의식해서가 아닌, 컴퓨터 자체를 ‘사회적 존재로 인식’함
    • ‘컴퓨터’ 조건일 때, 피험자는 ‘프로그래머’ 조건일 때보다 ‘더 유능하고, 호감이 가고, 사용하기 쉽다’고 응답함
    • ‘컴퓨터와 나’ 조건일 때, 피험자는 ‘프로그래머’ 조건일 때보다 ‘더 긍정적’으로 응답함
    • ‘컴퓨터’ 조건과 ‘컴퓨터와 나’ 조건은 별 다른 차이가 없었음
 
Share article
RSSPowered by inbl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