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와 주니어, 그 단상

요래조래 생각들
Oct 18, 2023
시니어와 주니어, 그 단상
예전에 PO님께 ‘시니어와 주니어의 차이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냐’라는 이야기를 여쭤본적이 있다. 그 분은 ‘문제를 안심하고 온전히 맡길 수 있는(delegate) 사람’을 시니어라고 정의했는데, 돌이켜보면 그런 신뢰는 어떻게 쌓아 나갈 수 있는거지? 경력과 성공 경험이 증명해주는건가? 주니어에서 시니어로 성장하는 갭을 빠르게 줄이고 싶었던 나에겐(=v=) 답변이 약간 모호하다고 느꼈다. How를 더 여쭤봤어야하는건데 what만 듣고 그 주제의 이야기는 끝냈었네..
 
Before I once asked PO what the difference between senior and junior is. He defined a senior as someone who can fully delegate a problem. Looking back, I was somewhat curious about how to establish such trust. Does one’s career and successful experiences serve as a proof? For me who eagerly wanted to reduce the gap in growth from junior to senior(=v=), the answer felt a bit ambiguous. I should have inquired about the ‘How’, but I concluded our discussion after only hearing the ‘What’.
 
 

Requirements

최근 본 몇 가지 아티클을 바탕으로 좋은 시니어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구체적으로 정리해봤다. mostly about soft skills. 전제는 업무에 필요한hard skills는 충분히 갖춰져있다는 것..일지도..? :
And I’ve finally summarized specific requirements to become a good senior based on some articles. Most of them are about soft skills. Perhaps the underlying assumption is that the necessary hard skills for the job are already.. in place.. or so..? :
  • 도구를 고민한다(investigating tooling enough) : 익숙한 프레임워크, 언어에 종속되지 않고 문제해결을 가장 효율적,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끊임없이 찾는다. Senior constantly evaluates tools, seeking the most efficient and effective ways to solve problems without being bound by familiar frameworks and languages.
 
  • 도움을 요청한다(asking for help) : 혼자서 문제를 고민하는 것보다 동료에게 좋은 질문들을 하면서, 찾아나가는 것이 문제해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Seeks assistance by colleagues by asking thoughtful questions, recognizing that it can significantly reduce probelm-solving time. Not afraid to request help.
 
  • 비즈니스 가치를 생각한다(delivering business value) : engineers must weigh opportunity costs - if they can achieve their goal with no code, even better. Revenue growth, improvement in productivity. Enginner’s have to deliver value first and foremost.
  • 문제를 발견할 수 있다 : 주어진 일을 하는지, 스스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지의 차이. 창조는 실패를 담보하기 때문에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베팅할 수 있는 도전 정신을 가진 사람이어야 한다. 조직 간 역할 관계, 기업 전략상 우리 프로젝트의 역할, 우리 제품의 마켓 포지션, 마켓 트렌드를 읽어내는 촉이 예민하게 발달되어 있고 주도적으로 일을 개척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때, upward communicaton은 필수. 회사 각 레벨 별로 볼 수 있는 문제의 scope에 차이가 있기 때문. 여기서 더 나아가 리더는, 확장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만드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이다. 문제해결이나 새로운 제안이 지속 가능한 방식인지는 기업의 성장에 매우 핵심적인 아젠다.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을 열심히 잘 해내는 것은 중요하지만, 다음 레벨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어떤 평가 방식이 있는지, 나에게 부족한 부분은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Difference between merely performing assigned tasks and proactively creating new opportunities. To be a true innovator, one must embrace the spirit of challenge without fear of failure, as creativity often entails setbacks. An individual should possess a keen sense for deciphering inter-team dynamics, understanding the role of project within our business strategy, our product’s market position, and staying attuned to market trends. In this context, upward communication is indispensable, given the varying perspectives at different organizational levels. Moreover, leader is the person who extends to creating scalability and ensuring sustainable growth. It’s a critical agenda for a company’s growth to determine if problem-solving and new proposals align with sustainable approaches. While performing one’s assigned tasks diligently is important, understanding the evaluation criteria and recognizing areas for improvement are crucial steps for personal growth.
  • 어려운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 : 앞서 언급한 중요한 문제를 발견하고 정의하는 능력외에 문제의 원인(root cause)를 분석하고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원인 해결을 위해 다양한 솔루션(resourceful) 해결할 수 있는 능력 - 해결해나가려는 과정을 통해 어떻게든 결과를 만들어 나갈 수 있는 능력이 있느냐에 관한 것. Solving a challenge by oneself : Ability to analyze the root cause of problem and define it. It’s all about the ability to produce results no matter how - finding out various solutions.
  • 회사 비즈니스의 큰 그림을 이해한다 : 대외적인 큰 그림(‘우리 회사 최고 경영진이 신경 쓰는 주요 당면 과제는?’), 내부의 큰 그림(‘회사에서 일을 잘 진행시키는 방법은?’), 우리 회사의 강점(‘외부 전문가들이 꼽는 부분은?’),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스킬, 협업하여 중요 업무를 수행하는 방법을 알아야한다. 아래는 IT회사 예시는 아니라서 그대로 적용하긴 어렵지만 꽤 괜찮은 접근 방법 - 결국 회사가 어떤 프로세스로 가치를 만들고 돈을 버는지 알아야한다. Understanding the big picture : External perspective(‘What are the key challenges that the company’s top management is concerned about?’), internal context(‘How to effectively manage work within the the company?’), strengths(‘What areas do external experts highlight?’), project management skills, and collaborative approaches to handling critical tasks. The example below may not be directly applicable to an IT company, but it offers valuable insights. Finally, we should know by which process the company creates value and generates revenue.
notion image
본인의 업무가 회사의 전략과 비전에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파악하고 임팩트를 증명해야한다.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회사의 리더들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일은 성과를 인정받을 수 없고 오히려 리소스를 낭비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We should demonstrate the impact of one’s task’s and understand how they align with the company’s strategy and vision. No matter how hard you’ve worked, if a leader perceives your work as unimportant, then you may not receive recognition for your performance, and it could be seen as waste of resource.
  • Great Communication Skills : 일을 되게 만드는 협업 능력. 회사 안에서 일을 추진하면서 만나게 될 어려운 유형을 알고, 적절히 대처한다. 안된다라고 그냥 이야기하지 않고, 상대방의 의도와 맥락을 이해해서 가능한 문제 해결책을 역제안한다. Collaborative skills to get work done. They should be able to work effectively with colleagues, even those who are challenging, and treat them well. Instead of simply saying ‘This won’t work’, they should provide suggestions for possible solutions by understanding their counterparts’ intentions and the context
 

인지하고 있어야 하는 것

  • 주니어와 시니어를 가르는 기준은 나이, 직급, 고과와 같은 정량적 요소가 아니라 그 사람이 회사에서 쌓아온 경력과 평판, track record다. 그 사람이 참여한 프로젝트나 업무에서의 타율. 좋은 트랙 레코드를 쌓는 것은 반드시 물리적인 시간이 필요하다. 아무리 빠른 러너라도 기차, 비행기의 속력으로 갈 순 없다.
  • 확실히 대기업보다 스타트업에서 커리어를 시작함에 있어서 장점은 방향성만 잘 잡는다면 - 주니어가 시니어로 성장하는데 fast track이 될 수 있겠다라는 것. 잘 이용해먹자, 나의 상황을~
  • 장기적으로 시니어로 성장하기 위한 나 다운 길을 찾자. 시니어로 인정받기 시작한 시점부터 커리어 종착지점까지의 구간은 리더십의 여정이다. 주니어는 혼자 똑똑하고 일 잘해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지만, 시니어는 혼자서 절대 성공하기 어려운 자리이다. 기업마다 리더십 모델이 다르지만, 핵심은 다섯가지이다.
    • 자기 객관화(내 현자 상태와 문제점을 스스로 돌아볼 수 있고 개선할 수 있는 능력)
    • 비전 제시(회사의 전사적, 장기적 비전에 맞춰 나의 부서, 업무 영역의 비전을 설정하고 공유하는 능력)
    • 전략적 의사결정(가용 자원 내에서 우선순위를 정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역량)
    • 혁신과 변화 수용성(새로운 트렌드, 문제 및 타인의 의견을 적절히 학습하고 수용할 줄 아는 역량)
    • 팀 육성 및 관리(팀원을 육성하고 팀워크 관리하는 능력)
  • 일에 대한 태도와 자세가 중요하다. 연차가 낮음에도 시니어로써의 능력을 하나씩 갖춰가고 있는 주니어들은 충분히 끈기있게 밀어붙일 수 있는 tenacity가 남다르다. 돌파력과 몰입은 연차와 꼭 비례하지 않는다.
  • Career growth within a role is usually about increasing scope, complexity, autonomy, and impact.
 

Resources - worth to read, but already included in this post

[커리어 노트 101] 주니어, 시니어, 리더의 차이 https://m.blog.naver.com/junedec369/223089069865
주니어에서 시니어가 되는 기준! 성공 타율 높이는 5가지 방법 https://publy.co/content/6865?s=qesw3x
커뮤니케이션 잘하는 개발자는 안돼요라고 하지 않는다 https://youtu.be/fe6_wCixJwE?si=z3Y1cBhFYPgOyc5h
 
 

왜 이렇게 가독성이 구리게 한, 영을 끼워넣었냐 물어본다면.. 제가 요즘 영작 공부에 빠졌기 때문~~.. GPT선생님이 첨삭을 진행해주긴 했는데 어색한 표현이 있을 수 있답니다.
Share article
RSSPowered by inbl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