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비계란? – 현장 실무자를 위한 이해 중심 설명
비계는 건설현장에서 외벽 작업이나 고소작업 시 작업발판을 설치하는 임시 구조물입니다. 여기서 ‘시스템 비계’란, 볼트/너트 없이 ‘끼우기 방식’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규격화된 부재들로 이루어진 비계를 말합니다.
✔ 시스템비계의 특징
부재 간 연결이 간단하고 빠르며, 작업성이 우수
설계 하중, 강도 등 사전 구조해석 기반 제작
강관비계 대비 전도/붕괴 위험이 낮음
최근에는 대부분의 공공공사, 민간대형공사에서 시스템비계 사용을 권장 또는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시스템비계 관련 법령은?
시스템비계 관련 법령은 크게 다음 2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08조~210조]
비계 작업 시 낙하 방지, 전도 방지 기준 명시
작업발판의 폭, 난간 설치 의무 등 세부 기준 존재
특히 제210조에서 시스템비계 설치 시 준수 사항을 따로 규정하고 있음
2. 건설기술진흥법
[건설기술진흥법 제62조] 및 시행령 제75조의2
시스템비계는 '가설구조물'로 간주되어, 일정 규모 이상의 공사에서는 구조검토 대상
특히 높이 31m 이상, 작업자가 올라가는 구조물은 구조기술사 검토가 필요함
구조검토는 시공사 책임이며, 제출된 도서에 따라 “조건부 적정”을 받지 못하면 시공 지연 발생 가능
📝 으뜸안전기술은 건설기술진흥법 제62조에 따른 구조검토 보고서를, 구조기술사 자격자가 직접 검토 및 날인하여 납품합니다.
시스템비계 점검 방법은?
비계 설치 후 정기적이고 반복적인 점검이 법적으로 의무화되어 있습니다. 실무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점검 시기
설치 완료 후 최초 사용 전
매 작업일마다 시작 전
외력(비, 바람, 지진 등) 이후
이동하거나 해체 후 재설치 시
✔ 점검자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에 따라 '사업장 내 안전관리자' 또는 '안전보건총괄책임자'가 점검해야 함
경우에 따라 전문기관(으뜸안전기술 등)의 점검 보고서 첨부 요구가 있을 수 있음
✔ 점검 항목
연결부위 이상 유무
수직·수평 기둥의 기울기, 흔들림 여부
기초부(발판 고임목 등) 안정 여부
낙하방지 설비(안전난간, 토보드 등) 설치 여부
지면과 접지된 부분의 침하/이완 여부
⚠ 점검결과는 기록으로 보존해야 하며, 추후 사고 발생 시 가장 먼저 조사되는 항목입니다.
🛠 으뜸안전기술은 이렇게 해결합니다
시공사 소장님들께서 자주 하시는 질문 중 하나는 “이거 구조검토 받아야 하나요?”입니다. 시스템비계는 대부분 구조검토 대상이 맞습니다. 하지만 그 판단 기준과 보고서 양식이 너무 복잡해서 혼자 처리하시기 어렵습니다.
으뜸안전기술은
구조기술사가 직접 검토하는 정식 구조검토 보고서를 제공합니다
비계, 동바리, 합벽지지대, 전이보 측압 등 다양한 가시설물 모두 검토 가능합니다
도면과 제원을 보내주시면, 나머지는 저희가 ‘알아서’ 처리해드립니다
필요 시, 유해위험방지계획서, 공사안전보건대장과 연계하여 ‘패키지 견적’도 가능합니다
✉️ 마무리 – 이런 현장이라면 바로 문의주세요
공공공사 현장으로 시스템비계 사용이 지정되어 있고, 구조검토 요청을 받으신 경우
착공 예정인데 감리가 시스템비계 구조검토 보고서를 요구하는 경우
안전관리계획서, 유해위험방지계획서 등이 필요한 경우
👉 구조도면 또는 공사개요를 메일로 보내주시면 검토 대상 여부부터 확인해드립니다
📧 help@edsafety.co.kr
📞 031-429-0479
으뜸안전기술은 연간 약 450건의 구조검토 및 안전계획서 용역을 수행하며, 납기 준수 100%, 조건부 적정률 99%를 자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