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시니어 비즈니스 인사이트

2024년 시니어 비즈니스 인사이트에서 다룬 주요 트렌드와 시장 변화, 그리고 시니어 시장 관련 스타트업을 확인해보세요.
더인벤션랩's avatar
Nov 04, 2024
2024 시니어 비즈니스 인사이트

1. 시니어 비즈니스 시장 현황

1-1. 뉴 시니어의 등장

2000년대 초반, 시니어 비즈니스는 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함께 중요한 시장으로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당시에 많은 기업들이 시니어 인구의 증가와 함께 이들이 새로운 소비자로 떠오를 것이라는 기대 아래 시니어를 타겟으로 하는 다양한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McKinsey에 따르면 60세 이상의 소비자는 젊은 층에 비해 높은 의료비 때문에 1인당 지출이 많으며 의료 외에도 주택, 교통, 엔터테인먼트 부문의 전체 소비 성장에 40% 이상을 기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에도 불구하고 시니어 산업의 성장은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시니어의 인구수, 경제력, 지속성, 3가지 요소를 충분히 충족하지 못한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시니어 비즈니스 시장은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에서 가장 부유한 세대인 1960년대생을 중심으로 한 영 시니어(Young Senior)들이 파워 컨슈머로 부상하면서 시장 판도가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영 시니어만 해도 860만명(전체 인구의 18%)이며 10년 후, 시니어층에 합류되는 50대까지 합쳤을 때 전체 인구의 절반에 육박하는 액티브 시니어(건강하고 적극적으로 은퇴 생활을 하는 사람들) 층이 등장할 전망입니다. 이는 시니어 시장이 더 이상 특정 연령대에 국한된 것이 아닌, 사회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시장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기존 시니어층과 뉴 시니어층의 특징

구분

기존 시니어

뉴 시니어

세대 특성

수동적, 보수적, 동질적

적극적, 다양성, 미래지향적

경제력

의존적, 경제력 보유 층 적음

독립적, 경제력 보유 층 두터움

노년 의식

인생의 황혼기

새로운 인생의 시작

가치관

본인의 노년층으로 인식

실제 나이보다 5~10년 젊다고 생각

소비관

검소함

합리적인 소비 생활

취미활동

취미 없음, 동일 세대간 교류

다양한 취미, 다른 세대간 교류

레저관

일 중심, 여가 활용에 미숙

여가에 가치를 두며 생활

여행

단체 여행 선호, 효도 여행 중심

여유 있는 부부 여행, 자유 여행

노후 준비

자녀세대에 의존

스스로 노후 준비

보유 자산

자녀에게 상속

자신의 노후 준비를 위해 사용

고학력, 고소득 베이비부머 세대의 액티브 시니어 계층은 웰에이징에 대한 욕구가 높습니다. 웰에이징을 위한 ‘나를 위한 소비’에 있어 현 액티브 시니어들이 시대의 변화를 이끌 것으로 전망되며 ‘액티브 시니어 스스로를 위한 서비스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로 50대, 60대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기기 활용 역량이 급성장했습니다. 유튜브 사용 시간 분포의 경우 50대(25.4%)가 이미 20대(23.3%)를 넘었으며, 온라인 카드 결제액 증가율과 OTT 결제 금액 증가율에 있어서도 50대, 60대가 전 연령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디지털 활용 역량 성장에 따라 시니어들이 겪고 있는 무료함과 불안감을 디지털 콘텐츠로 해소하려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 설문에서는 5060 신중년이 가장 쓰고 싶은 앱이 ‘책과 잡지 등 콘텐츠 구독 앱’이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디지털 시프트(Digital Shift)의 노력이 웰에이징을 위해 기업들이 IT 기술로 해결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패션, 푸드, 여가 등 라이프스타일에 있어 액티브 시니어가 갖고 있는 코호트적 특성과 취향을 잘 반영한 서비스에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더불어 많지는 않지만 웰에이징과 함께 AI 추모 서비스 같은 첨단 기술을 접목한 웰다잉 문화도 한 단계 진화하고 있습니다.

그림 1. 5060의 디지털 활용 역량 변화 출처: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인공지능(AI)등의 기술도 급격히 변화하는 과정에서 고령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에이징 테크와 시니어 비즈니스의 접목 또한 두드러질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개인 맞춤형 솔루션을 경험한 시니어 계층이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시간 자원과 현금 흐름 여력을 가지고 블루오션 시장 창출에 기여할 수도 있다는 전망입니다.

1-2. 시니어 비즈니스 시장 범위

시니어 비즈니스를 형성하고 있는 시장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닛세이기초연구소에 의하면 시니어 비즈니스는 연령대에 따라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어 산업의 범위를 허약한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생활 지원으로 한정하지 않고 확대할 수 있습니다. 크게 건강, 쾌적, 생활지원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연령대, 관련 욕구에 따라 다양한 시장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아래는 닛세이기초연구소에서 발표한 시니어 비즈니스 시장 분포 그림입니다.

그림 2. 시니어 비즈니스 시장 출처: 닛세이기초연구소

1-3. 해외 시니어 비즈니스 시장 동향

우리나라보다 앞서 고령사회에 진입한 전세계 각 선진국의 기업들은 다양한 시장에서 시니어 비즈니스를 마련해오며 고령화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수 기업들은 시니어 계층이 불편하다고 느낄 수 있는 작은 부분까지 놓치지 않고, 이를 배려할 수 있도록 설계한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적극적입니다. ‘노인 전용’을 전면에 부각시키기 보다는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시니어층의 불편 해소를 돕는 등의 ‘시니어 친화적’ 설계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업종별 ‘시니어 친화적’ 제품 및 서비스 해외 사례

업계

내용

대형마트

아침 일찍부터 활동하는 시니어를 위해 매장 개점 시간을 앞당김

슈퍼마켓

에스컬레이터 감속, 전동 휠체어를 위한 통로 폭 조정 등 시니어 친화적 쇼핑 환경 조성

온라인 쇼핑

시니어 전용 코너를 운영하며 시니어 전용 패션, 취미 생활, 건강용품 판매를 특화

식품

저작력을 고려하여 내용물을 작게 자르거나 으깬 무스 형태로 제공해 출시

화장품

제품 내부에 확대경 부착

화장품 설명서 글자 크기 조절

가전

PC 상의 문자, 아이콘 크기 확대 및 소프트웨어 수는 40% 줄여 제품을 단순화

아래에서는 국가별 시니어 시장 동향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미국) 시니어 시장 규모 1위 국가

약 8천만 명의 베이비붐 세대(1946-1965년생)가 65세 이상의 고령층에 진입할 예정입니다. 미국의 베이비부머 세대는 자녀 세대인 밀레니얼 세대나 Z세대보다 자산과 연금 소득이 많아서 은퇴 후에도 높은 소비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바이오 기술이 적용된 의료 제품, 재생의학 등 의료, 건강관리와 관련된 첨단 제품 및 서비스 수요가 높기 때문에 의약 및 헬스케어 산업 등에 주요 수요층으로 해당 산업을 이끄는 핵심 동력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또한 자신의 집에서 거주하려는 욕구가 증가하면서 홈 케어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본) 고령화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

자산 축적에 의한 양호한 소비 여력, 액티브 시니어의 증가 등으로 가계 소비에서 6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꾸준히 상승해 2030년 47%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일본 고령층은 주택 보유율이 90% 이상이고, 전체 금융 자산의 59.5%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본의 실버 시장은 일상 생활, 주거, 의료, 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령자의 수요를 반영한 제품 및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생활 용품 시장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나 연령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사용하기 편리하게 설계된 ‘유니버설 디자인’이 확대되고 있으며 고령층을 고려한 제품이 탄탄한 시장 규모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중국) 고령 인구가 가장 많은 국가

중국은 역사상 3번의 베이비붐 세대가 있었으며, 2차 베이비붐 세대(1962-1976년)에 태어난 인구가 고령층에 편입되기 시작하면서 빠르게 고령화가 이루어질 전망입니다. ‘은발 경제’의 소비자라고 불리는 중국의 실버 세대는 외국 문화를 수용하기 시작한 세대이자 경제적 자율성을 가진 세대로 강력한 소비 트렌드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됩니다. 고령층의 구매력은 2030년 26조 7천억 위안에서 2050년 106조 7천억 위안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특히 미용, 건강, 패션 분야에 대한 구매가 증가하고 온라인 쇼핑 비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EU) 실버 경제 생태계 구축

2020년 EU 실버 경제 규모는 3조 7,000억 달러이며, 전체 수치의 10% 이상이 고령층을 위한 공공 지출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인구 전망을 기반으로 추산했을 때, 규모는 매년 약 5%씩 증가하여 2030년에는 5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됩니다. EU에서 실버 경제는 일반 경제의 일부로 50세 이상 인구가 직접 구매하는 제품, 서비스, 경제 활동을 포함하며 이들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모든 경제 활동의 총합을 의미합니다. 돌봄 서비스, 헬스케어, 로봇 등에 대한 수요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림 3. 2020년과 2030년의 실버 시장 규모 (단위: 천억 달러)

1-4. 국내 시니어 비즈니스 시장 동향

현재 대한민국 시니어 비즈니스는 ‘돌봄 서비스’와 ‘액티브 시니어 스스로를 위한 서비스’를 중심으로 다양한 서비스가 전개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들어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서비스가 부상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현재 한국의 시니어 계층을 구성하는 베이비부머 세대가 고학력, 고소득층에 속하며 웰에이징에 대한 욕구가 크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들은 전통적인 부모 부양에 대한 인식이 이전 세대와 다릅니다.

2022년 발표된 한국 복지 패널 조사에 따르면 ‘부모 부양의 책임은 자식에게 있다’라는 의견에 응답자의 3.12%만이 매우 동의한다, 18.27%가 ‘동의한다’라고 답했습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시니어 계층의 가치관 변화와 함께, 스스로의 삶을 관리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돌봄 시장에서는 100억~300억 규모의 투자를 유치한 스타트업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공급자 중심 서비스와 소비자 중심 서비스로 구분되며 각 서비스의 대표적인 사례는 아래와 같습니다.

  • 공급자 중심 서비스: 시설의 운영 효율성 제고를 위한 행정 업무 자동화 솔루션, 요양보호사 구인구직 플랫폼, 방문요양 및 주야간보호센터 프랜차이즈 가맹 서비스, 요양보호사 및 간병인 매칭 서비스, 시설 정보 및 복지 용구 정보 제공 플랫폼 등

  • 소비자 중심 서비스: 병원 및 외출 동행 서비스

두 번째로, 액티브 시니어 스스로를 위한 서비스는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패션, 푸드, 여가 등 라이프스타일에 있어 액티브 시니어가 갖고 있는 코호트적 특성과 취향을 잘 반영하고, 차별적인 서비스를 원하는 고객들을 타겟팅 하는 분명한 아이덴티티를 가진 서비스에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TBWA에서 정의한 액티브 시니어의 대표적인 특징 7가지를 아래에 정리했습니다.

1) Ageless: 나이를 의식해 보수적으로 살기보다는, 나이를 초월한 라이프스타일을 누리고 싶은 욕구

2) Accomplished: 여생을 커뮤니티,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가치 있는 성취를 이루고자 하는 욕구

3) Autonomous: 도움이 필요한 의존적 삶이 아닌, 자기 주도적 삶을 살고 싶은 욕구

4) Attractive in my own way: 자연스럽고 품위 있게 나이 들고 싶은 욕구

5) Alive: 무엇이든 다 할 수 있다는, 생기 가득한 삶을 살고 싶은 욕구

6) Admired: 수많은 경험을 인정받고 싶은 사회적으로 존경과 존중을 받고 싶은 욕구

7) Advanced: 성숙하고 수준 높은 나만의 취향을 가지고 싶은 욕구

시니어 비즈니스는 초고령사회의 위기에 대응하는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다양한 기업들에게 중요한 기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에 발맞춰 국내 여러 기업들은 시니어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이며 혁신적인 기술과 맞춤형 솔루션을 통해 시장 선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요양, 간병과 같은 돌봄 서비스에서 패션, 헬스케어 같은 전통적 산업에 AI, 빅데이터 같은 신기술이 결합된 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최근엔 5060 시니어 여성을 대상으로 한 패션 관련 서비스가 다수 등장하고 있습니다.

대기업은 광범위한 고객층을 대상으로 한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스타트업은 특정 고객 세그먼트에 초점을 맞춘 버티컬한 서비스로 차별화를 도모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주로 특정 산업이나 고객에게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빠르게 성장하는 동시에 구체적인 요구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하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2. 웰에이징/웰다잉 생태계 동향

2-1. 웰에이징(Well-Aging)

안 늙고 젊게 살아가는 것을 중시하는 안티에이징(anti-aging)에서 더 나아가 건강하고 행복하게 잘 늙는 웰에이징(well-aging)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웰에이징의 욕구가 가장 큰 5060대는 건강하고 아름답게 늙어가기 위해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찾고 있습니다. 웰에이징의 대표 분야는 ‘제론테크놀로지(Gerontechnology)’입니다. 노년학(Gerontology)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인 제론테크놀로지는 고령화로 인한 사회,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과학 기술을 넘어 의학, 노년학, 심리학, 공학, 간호학, 사회학, 생리학, 인구학 등이 융합된 ‘과학 기술과 복지 케어’ 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앞서 소개한 시니어 비즈니스 시장을 모두 아우르고 있으며, 최근에는 ‘돌봄’, ‘생활 안전’,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혁신적인 제품 및 기술, 서비스들이 시장에 선보여지고 있습니다.

  • 돌봄: 응급안전 안심 서비스, 인공지능 스피커를 활용한 케어, 약 복용시간 알림 등

  • 생활 안전: 치매 예방 콘텐츠, 주거안정장치, 조리시스템 등

  • 삶의 질 향상: 인공지능 로봇, 심리치료용 반려동물 로봇 등

2-2. 웰다잉(Well-Dying)

한국보다 먼저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웰다잉 관련 시장의 연간 산업 규모가 10조원이 높습니다. 일본은 동북대지진 참사 이후, 죽음에 대해 깊게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고 웰다잉과 관련된 다양한 단체, 교육들이 생겨났고 정부에서는 웰다잉 관련 서비스 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상속, 재산정리, 연명 치료, 간병, 치매, 유품 정리까지 범위를 넓혔고 현재는 여생의 생활설계, 생전 정리, 장례 및 장묘의 준비, 엔딩 노트 작성 등 4대 부문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 여생 생활설계: 간병 및 돌봄에 대한 희망, 연명 치료에 대한 의사 표시 등

  • 생전 정리: 재난이나 소지품 정리, 상속 재산 처분, 유언장 작성, 디지털 유품 처리 등

  • 엔딩 노트: 법적효력이 없는 웰다잉 계획서 등

한국에서는 2018년 초 연명의료결정법 시행을 계기로 웰다잉 교육 및 생전 체험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디지털 신기술을 만나며 여생 생활설계, 생전 정리, 엔딩노트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들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그 결과 장례, 상속, 추모 등 복잡했던 과정이 간편해졌고 시공간의 제약이 줄어들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 가지 유의해야 할 점은 현재 한국에서 온라인으로 작성한 유언은 법적 효력을 갖지 못합니다. 민법이 규정하고 있는 유언 방식은 자필, 녹음, 구수증서, 비밀증서, 공정증서 5가지입니다. 이에 따라 웰다잉 서비스 중 유언장 작성 서비스는 실제를 위한 연습 정도로 생각해야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주요 업체 소개

앞서 소개한 시니어 비즈니스 산업 내의 건강, 쾌적, 생활지원 세 가지 시장에 대한 서비스들을 정리했습니다. 해외 시장은 국내와 비교했을 때 다양한 혁신적 서비스들이 빠르게 출시되는 경향이 있어,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중심으로 조사했습니다. 국내 시장은 서로 유사한 서비스들이 많기 때문에 그 중에서도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사례와 새로운 서비스를 전개하는 차별화된 사례들을 선별하여 정리했습니다.

3-1. 해외 업체

  • 3-1-1. [건강] 라쿠텐 시니어(일본) - 시니어의 일상적인 건강 활동을 응원하는 서비스

    楽天シニア|歩数を測って、健康管理。近くのイベントも探せる「健康生活応援アプリ」

    라쿠텐(Rakuten)은 대표적인 일본의 전자상거래 및 인터넷 서비스 기업으로,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크게 전자상거래, 금융 서비스, 모바일 통신, 디지털 콘텐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고객에게 포인트 시스템을 제공해 쇼핑을 장려하고 다양한 제휴 프로그램으로 고객 충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라쿠텐 시니어 서비스는 일본의 고령자들이 보다 건강하고 활기찬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고령자들의 건강 관리, 사회적 연결 유지, 디지털 환경 적응을 도우며 고령자들의 생활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는 점과 고령자를 타겟으로 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 타겟 고객 및 니즈: 주로 고령층(60대 이상)을 타겟으로 하고 있으며, 일상적인 걷기와 건강 프로그램 같은 활동을 통해 활발하고 건강한 생활을 이어가려는 니즈가 있음.

    • 서비스 소구점 및 프로세스

      • 건강한 생활 습관 형성이 가능

      • 기록된 걸음 수에 따라 라쿠텐 포인트 적립, 이후 포인트는 라쿠텐에서 상품 구매 시 사용 가능

      •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고민이나 취향에 맞게 체조 동영상 시청 가능

    • BM 모델 및 전략

      • 리워드 방식의 포인트 적립(4,000걸음을 걸으면 스탬프 하나를 받을 수 있고, 스탬프 7개를 모이면 3포인트를 받을 수 있음, 지정된 체크인 시설에서 QR 코드를 인식하면 스탬프와 쿠폰을 받을 수 있음)

      • 적립한 포인트로 라쿠텐 내의 다른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게 하며 자연스러운 고객 유입을 유도.

    • 향후 확장 방안: 건강 관리 기능을 고도화하고 오프라인 이벤트를 개최해 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하고자 함

  • 3-1-2. [생활지원] Famileo(프랑스) - private 가족 전용 소셜 네트워크

    The family newspaper that brings joy to grandparents

    프랑스 기업인 Famileo는 2015년 설립되어 가족 전체가 개인화된 신문 형태로 소식을 공유할 수 있는 프라이빗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난 한 달 간 앱 다운로드 수는 35,911회, 월 방문자 수는 2,156,220명, 이전 달 대비 방문자 증가율은 47.89%입니다. 특히 미국에서의 월별 방문자 증가율이 1,415.33%, 영국이 187.36%로 서비스의 수요가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Famileo의 투자 라운드는 2019년 1회로 VentureOut으로부터 비지분형 지원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타겟 고객 및 니즈: 가족 간의 소통을 원하는 시니어와 그 가족들

    • 서비스 소구점 및 프로세스

      •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면서도 시니어가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뉴스레터 형식의 인쇄물을 제공. 가족들에게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로의 소식을 공유 받을 수 있게 함.

      • 가족들이 앱에서 사진과 텍스트 업로드 -> 신문 형식으로 편집 -> 인쇄 후 시니어에게 우편으로 배달

    • BM 모델 및 전략

      • 가족들이 정기적으로 요금을 지불하고, 시니어가 우편을 받을 수 있는 구독형 모델

      • 서비스의 감정적인 부분, 간편한 UX, 저렴한 가격으로 인쇄하는 전략 강조

    • 향후 확장 방안: 스페인, 영국, 미국, 캐나다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음

  • 3-1-3. [생활지원] Empathy(뉴욕) - 유가족을 위한 통합 장례 서비스

    Support for Loss | Empathy

    미국 기업인 Empathy는 2020년 설립되어 가까운 사람의 죽음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실질적이고 감정적인 지원을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난 한 달 간 월 방문자수는 22,565명, 지난달 대비 월별 증가율은 -70.67%로 확인됐습니다. 이 중, 전체 월별 방문자 점유율 82%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에서 월별 방문자가 66.33% 감소했고, 전체 월별 방문자 점유율 3%를 차지고 있는 이스라엘에서 601.15%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2021년 4월 $13M의 시드 투자를 받은 이후, 같은 해 9월 Series A 라운드에서 $30M의 자금 조달에 성공했고 2024년 3월 Series B 라운드에서는 $47M의 추가 자금 조달에 성공했습니다.

    • 타겟 고객 및 니즈: 가족을 잃은 후 행정적, 감정적 문제를 해결하고 싶은 유가족

    • 서비스 소구점 및 프로세스

      • 행정적, 감정적 두 가지로 나누어 서비스를 제공.

        • 행정적 문제 해결: 법적 절차, 보험 청구, 유산 처리 등에 대한 단계적 지침을 제공

        • 감정적 문제 해결: 심리 상담을 비롯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감정 과정 추적, 개인 일기 작성, 명상 등)

      • BM 모델 및 전략

        • 직원 복지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제공하거나, 보험회사/병원과 같은 기업 파트너와 협력해 이익을 창출

3-2. 국내 업체

  • 3-2-1. [건강] 실비아 - 치매 예방 솔루션

    실비아 | 회사소개

    2020년 설립된 실비아헬스는 비대면 인지건강 케어 플랫폼 ‘실비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4년 8월 기준 월 방문자 수는 1,247명이며 2023년 기준 연매출은 6,802.3만원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또한 현재까지 중장년층 사용자 3만 명 이상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0년 Seed 라운드 이후, 2023년 Pre-A 라운드를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투자 금액은 비공개입니다.

    • 타겟 고객 및 니즈: 치매 위험이 있는 중장년부터 어르신까지 치매 발병 위험을 낮추고자 하는 니즈

    • 서비스 소구점 및 프로세스

      • B2C: AI 기반의 치매 위험도 평가 및 그게 따른 개인 맞춤형 치매 예방 솔루션을 제공. 비대면 전문가 화상 검진 서비스 제공.

      • B2B: 기업 맞춤형 로고, UI 세팅 가능. 대시보드로 사용자 정보를 손쉽게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음. 전문 강사가 필요한 경우 파견 가능.

    • BM 모델 및 전략

      • 아직까지는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B2B를 대상으로만 유료 서비스(맞춤 솔루션 제공, 전문가 파견 등)을 제공하고 있음. 대중적인 접근을 통해 고객 데이터를 확보하는 전략과 B2B 파트너십을 통해 상업화하는 전략으로 확인됨.

    • 향후 확장 방안

      • 12주 치매 예방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있으며 식약처 인증을 받는 절차를 진행할 계획.

      • 계속해서 B2C, B2B, B2G로 확장할 방안을 계획 중.

  • 3-2-2. [쾌적] 오뉴 - 액티브 시니어 여가 큐레이션 서비스

    오뉴 | 당신이 찾던 다시 가슴 뛰는 일상

    2020년 설립된 로쉬코리아는 5060 대상 여가 큐레이션 플랫폼 ‘오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연매출은 6.3억원으로 확인되며, 2024년 9월 기준 사용자의 70.9%가 5060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0년 12월 Seed 라운드 이후, 현재까지 총 6번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현재 Pre-A 라운드를 진행 중입니다. 누적 투자 유치 금액은 2.0억원 이상으로 파악되나, 상세한 투자 금액은 비공개입니다.

    • 타겟 고객 및 니즈: 다양한 여가 활동에 참여, 네트워킹의 니즈가 있는 액티브 시니어

    • 소구점 및 프로세스

      • 개인 맞춤형 여가 큐레이션과 풍부한 콘텐츠 제공.

    • BM 모델 및 전략

      • 월 정액 요금을 지불하고 여러가지 여가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는 구독형 모델, 다양한 기관 및 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파트너십.

      • 온 오프라인 운영방식에 차별화를 두어 액티브 시니어들을 위한 플레이그라운드를 구축하는 전략을 꾀하고 있음.

    • 향후 확장 방안

      • 시니어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확장할 계획

  • 3-2-3. [쾌적] 퀸잇 - 중년 여성 패션 플랫폼

    라포랩스 채용

    2020년 설립된 라포랩스는 4050 여성 패션 플랫폼 ‘퀸잇’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연매출은 412.6억원으로 확인되며, 2024년 8월 기준 월 방문자 수는 117.4만 명, 이 중 15.6%가 여성 40대, 53.2%가 여성 50대, 19.6%가 여성 6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0년 12월 Seed 라운드 이후 현재까지 총 5번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현재 Series B 라운드를 진행 중입니다. 누적 투자 유치 금액은 855억 원 이상으로 파악되며 상세 투자 금액은 2022년 Series B 라운드에서 360억 원, 2023년 Series B 라운드에서 340억 원 자금 조달에 성공한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 타겟 고객 및 니즈: 가격 대비 품질 높은 의류, 다양한 스타일의 의류를 원하는 구매력이 높은 중년 여성

    • 소구점 및 프로세스

      • 중년 여성에 맞춘 맞춤형 쇼핑 경험.

      • 다양한 브랜드와의 협업, 직관적인 UI/UX, 개인 맞춤 추천 시스템, 커뮤니티 기능.

    • BM 모델 및 전략

      • B2C 중심,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직거래를 통해 수수료를 가져가는 구조.

      • 입점 브랜드는 1,100여곳으로 동종 업계에서 독보적으로 많으며, 퀸잇에만 입점한 브랜드들을 확보하였음. (단독 입점 브랜드의 거래액이 전체의 25%를 차지함.)

    • 향후 확장 방안

      • 개발 조직을 내재화해 머신러닝을 고도화하고 소비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켰을 때 원하는 상품을 바로 보여줄 수 있도록 개발력 확장 진행 중.

      • 여행상품, 반려동물상품 등 중년 세대가 좋아하는 것을 중심으로 카테고리를 확장할 계획

  • 3-2-4. [쾌적] 더뉴그레이 - 시니어 패견 컨설팅, 메이크오버 콘텐츠 커머스 서비스

    더뉴그레이

    2023년 설립된 더뉴그레이는 시니어들이 능동적으로 자신의 삶을 이끌어가며 활기찬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시니어 콘텐츠, 커머스 관련 서비스인 ‘더뉴그레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4년 1월 투자를 받아 현자 Seed 라운드를 진행 중이고 상세한 투자 금액은 비공개입니다. 사용자의 60%가 5060대 이상이며, 더뉴그레이의 영향력은 SNS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인스타그램과 틱톡을 합해 약 70만명의 팔로워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틱톡 누적 조회수는 지난해 1억회를 넘었습니다.

    • 타겟 고객 및 니즈: 패션, 시니어 인플루언서, 크리에이터에 관심이 많은 시니어

    • 소구점 및 프로세스

      • 시니어를 대상으로 세련되면서도 실용적인 패션, 라이프스타일을 제안

      • 커머스(상품 판매), 커뮤니티(시니어 소통), 콘텐츠(숏폼 미디어 & MCN), 시니어 인플루언서 육성

    • BM 모델 및 전략

      • 메이크업 콘텐츠를 통한 기업 광고 캠페인

      • 아카데미 ‘더뉴그레이클럽’ 운영: 시니어 인플루언서 또는 크리에이터 육성

        • 주 1회 수업, 3개월 과정. 한 달에 60만원 프로그램

      • 시니어 크리에이터 에이전시 운영

      • 한국과 유사한 사업을 진행할 일본 법인 설립

    • 향후 확장 방안

      • 젊고 발랄한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뷰티 브랜드 런칭

      • 전세계 시니어 인플루언서를 핸들링하는 글로벌 시니어 에이전시가 되기 위한 글로벌 진출

  • 3-2-5. [쾌적] 아너드 -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여행과 컨시어지 서비스

    포페런츠, 어르신 전문 컨시어지 서비스

    2022년 설립된 포페런츠는 시니어를 위한 여행과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입니다. 대표적인 서비스는 70대와 80대 어르신을 위한 돌봄 여행 ‘포페런츠’와 50대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아너드’가 있습니다. 이 중 아너드는 기존 저가 상품 위주 패키지 여행이 아닌 베이비붐 세대의 여가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여행을 제공합니다. 또한 회원제를 통해 회원 간의 교류도 촉진합니다. 2023년 11월, 2024년 1월 두 번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현재 Seed 라운드를 진행 중입니다. 상세한 투자 금액은 비공개입니다. 정확한 매출액은 확인할 수 없지만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500% 이상 성장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 타겟 고객 및 니즈: 여행을 원했지만 온전한 자신의 삶을 살지 못했던 중장년층, 여행으로 새로운 사람을 자연스럽게 만나고 싶은 중장년층

    • 소구점 및 프로세스

      • 중장년층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환경과 가치 있는 여행 콘텐츠 제공

      • 맞춤 여행 코스 & 플래닝, 프리미엄 차량 & 기사 배차, 숙소 항공 예약 & 티켓팅, 온라인 여행 비서 서비스 제공

    • BM 모델 및 전략

      • 여행 구성 요소에 따라 가격이 달라짐. (입장료, 숙박비 등 제휴사를 통해 최소한의 경비로 진행 가능)

      • 아너드 회원제 서비스 운영 – 회원간의 교류 가능

    • 향후 확장 방안

      • 오프라인 여행을 통해 수집한 고객 데이터를 바탕으로 일상에서 쉽고 편리한 라이프스타일 헬스케어 솔루션으로 확장할 계획

  • 3-2-6. [생활지원] 삼성전자 - 패밀리 케어 서비스

    삼성전자, 스마트싱스 ‘패밀리 케어’ 서비스 개시

    삼성전자는 2024년 6월 패밀리 케어 서비스를 출시하며 첫 번째 타겟을 시니어층으로 잡았습니다. 이유는 숨은 소비자 발굴 등 고객층 확보에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시니어층을 타겟으로 할 경우 고령자 뿐만 아니라 부모와 떨어져 사는 자녀까지 고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삼성전자가 AI 가전 사용자인 시니어층이 아닌 자녀의 입장에서 서비스 주요 사례를 소개한 것은 똑똑한 전략이라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시니어 비즈니스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확립하고자 하고 있고, 고령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까지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 타겟 고객 및 니즈: 건강 상태 모니터링, 스마트 홈 기기를 통한 가족의 안전 확보의 니즈가 있는 노부모를 돌보는 중견 가장의 가장

    • 소구점 및 프로세스

      • AI 가전과 위치기반 서비스를 활용해 가족의 건강과 안전을 관리. - 활동 알림: 활동 패턴을 분석해 이상 상황 발생 시 알림 전송 - 위치 기반 케어: 특정 장소 출입 여부와 위치를 파악 - 복약 알림 및 일정 관리: 복약 시간 등을 안내

    • BM 모델 및 전략: 현재까지는 삼성전자 AI 가전 제품을 가지고 있다면 무료로 사용 가능함.

    • 향후 확장 방안: 서비스 적용 국가를 확대하고, 기능 또한 지속해서 추가할 예정.

  • 3-2-7. [생활지원] 메모비 - 데스 테크 서비스 플랫폼

    새로운 개념의 메시지 예약 전달 서비스, 메모비

    2019년 설립된 메모비(Memovie)는 2023년 출시한 새로운 개념의 맞춤형 메시지 예약 전달 플랫폼 ‘메모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중, 데스테크 서비스의 일환으로 사용자가 사후 메시지를 작성하고 이를 원하는 시점에 전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투자 라운드, 투자 유치 금액은 확인할 수 없지만 프리드라이프와 멤버십 제휴 계약 체결, KT와 오픈이노베이션 진행 중, 미국 유통업체와 JV 설립 논의 중, 일본 사업자와 서비스 제휴 검토 중 등 다양한 성과를 만들어 나가고 있습니다.

    • 타겟 고객 및 니즈: 자신의 죽음을 준비하는 사람들/죽음 전 오랜 시간 기억될 특별한 행사를 본인이 직접 손쉽게 만들고 싶은 니즈

    • 소구점 및 프로세스

      • 사용자가 자신의 사후 메시지, 유언, 부고 등을 직접 작성해 미리 지정한 시점에 전달, 전용 앱을 통해 메시지 작성 및 일정 등록

      • 서비스 선택 → 결제 → 전용 앱 설치 → 메시지 작성&등록&수정 → 전송

    • BM 모델 및 전략

      • 기본적으로 1회 이용료 혹은 가입비를 받는 구조.

      • 대표적 이벤트에 활용 가능한 패키지(개수 지정)와 메시지 받는 사람의 수, 전달 시점, 이용 기간 등을 필요한 만큼 지정해 구매할 수 있는 개별 맞춤형 서비스 두 가지로 제공

    • 향후 확장 방안: 상조 회사들과 제휴해 멤버십 서비스 시작, 한국/미국/중국/일본 등에 메모비 플랫폼 글로벌 특허 등록 완료

4. 참고자료

The Gerontechnologist. https://thegerontechnologist.com

서울신문 (2017). ‘’뉴 시니어’ 거대 시장 잡아라". https://www.seoul.co.kr/news/economy/industry/2017/06/13/20170613022007

Newsis (2024). 발빠른 스타트업들…빅데이터·AI로 시니어시장 '정조준'".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0624_0002784757

KPMG (2017). "Samjong Insight: Senior Business Opportunities in Korea". https://assets.kpmg.com/content/dam/kpmg/kr/pdf/kr-samjong-insight-49.pdf

한겨레 (2024). "70대 이상 노인, 20대 인구 추월…한국 초고령사회 1% 남았다". https://www.hani.co.kr/arti/area/area_general/1123825.html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 https://www.hanaif.re.kr/boardDetail.do?hmpeSeqNo=34896&menuId=MN1000&tabMenuId=MN1108&srchNm=ALL&srchKey=

KOITA Webzine (2023). "[특집] 시니어 비즈니스의 현주소와 방향". http://webzine.koita.or.kr/202305-specialissue/2023-시니어-비즈니스의-현-주소와-방향

동아비즈니스리뷰 (2012). "Silver but trendy… 확실한 특화전략이 먹힌다".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3/article_no/5731/ac/magazine

매일경제 (2021). "웰에이징 시장 트렌드 주도하는 5060…제론테크 급성장". https://www.mk.co.kr/news/society/10060642

대한상공회의소 경제정보센터 (2018). "초고령 사회, 웰다잉 산업이 뜬다". https://m.korcham.net/nChamMob/Service/Economy/appl/InfoDetail.asp?SEQ_NO_C050=4081&CHAM_CD=undefined

결국엔, 너와 나 모두를 위한 기술 ‘제론테크놀로지(Gerontechnology)’. https://www.igloo.co.kr/security-information/결국엔-너와-나-모두를-위한-기술-제론테크놀로지ger/

Bravo My Life (2024). " 전 세계가 고령화 몸살, 각 국의 시니어 비즈니스 현황은? ". https://bravo.etoday.co.kr/view/atc_view/15590

RocketPunch. https://www.rocketpunch.com/

디지털데일리 (2024). " "6월, 패밀리케어 공개"…삼성전자, AI라이프 첫 타깃은 '시니어' 세대 ". https://m.ddaily.co.kr/page/view/2024051418464686120

Deal Site TV (2024). " 삼성전자, '효심' 자극 'AI 패밀리케어' 출시 배경은? ". https://news.dealsitetv.com/news/articleView.html?idxno=116537

Crunchbase. "Company Profiles". https://www.crunchbase.com/

혁신의 숲. https://www.innoforest.co.kr/

Thevc. https://thevc.kr/browse/startups

Rakuten. https://global.rakuten.com/corp/about/ko/

Rakuten Senior. https://senior.rakuten.co.jp/

LG Business Insight (2014). "시니어 비즈니스 섬세하고 포용적인 접근으로". https://www.lgbr.co.kr/uploadFiles/ko/pdf/man/LGBI1290-13_20140224092945.pdf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4). "글로벌 고령친화정책 동향 및 전망". https://www.khidi.or.kr/board/view?pageNum=1&rowCnt=10&menuId=MENU00314&maxIndex=00489066859998&minIndex=00001264489998&schType=0&schText=&categoryId=&continent=&country=&upDown=0&boardStyle=&no1=204&linkId=48906638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4). " 글로벌 고령친화산업 동향 및 전망 ". https://www.khidi.or.kr/board/view?pageNum=1&rowCnt=10&menuId=MENU00314&maxIndex=00489066859998&minIndex=00001264489998&schType=0&schText=&categoryId=&continent=&country=&upDown=0&boardStyle=&no1=204&linkId=4890664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시니어비즈니스 산업 활성화를 위한 근거 기반 통계의 문제점과 과제". https://repository.kihasa.re.kr/bitstream/201002/33043/1/연구보고서(수시) 2019-01.pdf

Share article

Copyright © The Invention Lab.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