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프로토콜, 네트워크 계층화, OSI 7계층, TCP/IP, 네트워크 장비

salmonavocado's avatar
Aug 15, 2024
[네트워크] 프로토콜, 네트워크 계층화, OSI 7계층, TCP/IP, 네트워크 장비
본 글은 JSCODE CS스터디 컴퓨터 네트워크 7기에서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본 글은 JSCODE CS스터디 컴퓨터 네트워크 7기에서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컴퓨터 네트워크는 무엇인가요?

개념
  • 컴퓨터 네트워크란 통신과 데이터 전송을 위해 케이블(유선)이나 와이파이(무선)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기반 인프라
    • 즉,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서 “네트워크” 탄생
    •  
구성
  • 하드웨어 (물리적 네트워크) : 라우터, 스위치, 액세스 포인트, 케이블
  • 소프트웨어 (논리적 네트워크) : 운영 체제,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구조
  • 애드 혹 네트워크
    • 노드들에 의해 자율적으로 구성되는 기반 구조가 없는 네트워크
      •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기반 네트워크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음
    • 긴급 구조, 긴급 회의, 전쟁터의 군사 네트워크 등에 활용
  • 네트워크 설치 구조
    • 버스형
      • 하나의 네트워크 회선에 여러 대의 노드가 멀티 포인트로 연결된 구조
      • 단순한 구조로 쉬운 설치와 저렴한 비용 → 네트워크 회선에 노드 추가 삭제 용이
      • 무분별한 노드 추가로 성능 저하
      • 회선의 특정 부분 고장시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
    • 트리형
      • 계층형으로 나뭇가지처럼 연결된 구조
      • 허브만 있다면 여러개의 노드 쉽게 연결 가능하지만 허브가 ㄱ좡난다면 연결된 단말 노드의 네트워크가 제한됨
    • 링형
      • 모든 노드가 하나의 링에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조
      • 노드 추가 삭제 쉬우나 링의 한 부분에 장애 발생시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
    • 성(star)형
      • 각 단말 노드가 허브에 점 대 점으로 연결된 구조
      • 소규모의 네트워크 설치 및 재구성 간편하나 중앙 허브 고장시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
  • 다중화기
    • 하나의 회선을 통해서 일정한 시간이나 주파수로 나누어 전송하는 장비
 
특징
  • 지리적 위치로 정의
    • LAN : 근거리 통신망, 사무실 건물처럼 물리적으로 정의된 공간 내의 컴퓨터들끼리 연결
    • WAN : 광역 통신망, 대륙을 가로질러 컴퓨터들끼리 연결
      • 예. 인터넷
      •  
  • 인터넷
    • 가장 널리 사용되는 컴퓨터 네트워크
    • WWW와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해 사용자가 전 세계 웹사이트의 정보와 서비스에 접근 가능
  • 프린터 (LAN)
  • 도시 전역의 감시 카메라 (MAN)
 
장점
  • 방대한 자료 공유 가능
  • 사진, 음악, 영상 등의 디지털 미디어 접근 가능
  • 프로세스 분배를 통한 성능 향상
 
단점
  • 보안의 위험 (바이러스, 악성코드, 해킹, 데이터 변조 등)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개념
  • 특정한 물리 매체에 의하여 일대일로 직접 연결된 두 시스템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 데이터의 흐름에 초점
 
전송 방식
  • 단방향 전송
    • 한쪽 방향으로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
    • 키보드에서 모니터로 데이터 전송
  • 반이중 전송
    • 양방향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전송 불가
    • 무전기 통신
  • 전이중 전송
    • 동시에 양방향으로 데이터 전송 가능
    • 전화
  • 패킷 전송
    • 데이터를 작은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
    •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전송되며 목적지에서 다시 조립됨
    • 인터넷에서 주로 사용
  • 회선 전송
    • 통신을 위해 전송 경로를 미리 설정하고 그 경로를 통해 데이터 전송
    • 전통적인 전화망
  • 메시지 전송
    • 전체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다음 노드로 전송
    • 대기 지연 발생
 

프로토콜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개념
  • 통신을 주고받는 방식을 정의한 약속, 규칙
  • 프로토콜을 통해서 데이터가 올바르게 전송되고 수신될 수 있음
 
기본 3요소
  • 구문
    • 시스템 간의 정보 전송을 위한 데이터 형식, 코딩, 신호 레벨 등의 규정
  • 의미
    • 시스템 간의 정보 전송을 위한 제어 정보로 조정과 에러 처리를 위한 규정
  • 타이밍
    • 시스템 간의 정보 전송을 위한 속도 조절과 순서 관리 규정
 
특징
  • 단편화 : 전송 가능한 작은 블록으로 나누어지는 기법
  • 재조립 : 단편화되어 온 조각들을 원래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법
  • 캡슐화 : 상위 계층의 데이터에 각종 정보를 추가하여 하위 계층으로 보내는 기법
  • 연결 제어 : 데이터의 전송량이나 속도를 제어하는 기법
  • 오류 제어 : 전송 중 잃어버리는 데이터나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를 검증하는 제어 기법
  • 동기화 : 송신과 수신 측의 시점을 맞추는 기법
  • 다중화 : 하나의 통신 회선에 여러 기기들이 접속할 수 있는 기술
  • 주소 지정 : 송신과 수신지의 주소를 부여하여 정확한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기법
 
기능
  • 데이터 형식과 구조 정의
    •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과 같은 전송하는 데이터의 형식 정의
  • 전송 절차 규정
    • 시작, 중간, 종료 절차를 규정하여 어떻게 전송되고 수신되는지 정의
  • 오류 검출 및 수정
    •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방법 제공
  • 연결 관리
    • 송신자와 수신자간의 연결을 설정하고 종료하는 방법 정의
    • 회선 교환 방식, 패킷 교환 방식에서 중요
  • 보안
    • 암호화, 인증 등의 방법으로 데이터 전송 보안을 보장하기 위한 규칙 정의
 
종류
  • 네트워크 통신의 복잡성을 관리하기 위해 통신을 OSI 7계층으로 나누고 각 계층 별 프로토콜을 분류
  • 물리 계층
    • Ethernet, USB
  • 데이터 링크 계층
    • Ethernet, PPP, HDLC, 프레임 릴레이, ATM
  • 네트워크 계층
    • IP, ICMP, IGMP, ARP, RARP, 라우팅
    • IP 프로토콜
      • 송수신 간의 패킷 단위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 받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 전송 계층
    • TCP, UDP
    • TCP 프로토콜
      •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프로토콜
      • 데이터의 순서와 무결성을 보장
      • 오류 검출 및 재전송 기능 제공
      • HTTP, FTP, SMTP 등의 많은 응용 프로토콜이 TCP 위에서 작동
  • 세션 계층
    • RPC, NetBIOS
  • 표현 계층
    • JPEG, MPEG, SSL/TLS
  • 응용 계층
    • HTTP, FTP, SMTP, DNS
    • HTTP 프로토콜
      • 웹 페이지와 같은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하여 요청-응답 방식으로 작동
 

TCP/IP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개념
  •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집합
  • IP 주소 체계를 따르고 IP Routing을 이용해 목적지에 도달하며 TCP의 특성을 활용해 송신자와 수신자의 논리적 연결을 생성하고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 송신자가 IP주소를 사용해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하고, 해당 데이터가 제대로 갔는지 속도가 너무 빠르거나 느리게 가진 않았는지 제대로 받았다고 연락이 오는지에 대한 것
 
응용 계층
  •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프로토콜
  • HTTP, FTP, SMTP, DNS
전송 계층
  •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과 흐름(속도) 제어 담당
  • TCP, UDP
인터넷 계층
  • 데이터 패킷의 주소 지정 및 라우팅 담당
  • IP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 물리적 네트워크와의 상호작용 담당
  • Ethernet, Wi-Fi
 

OSI 7 Layer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계층 이름
프로토콜
전송단위
장비
응용 계층
HTTP, FTP
데이터
호스트
표현 계층
JPEG, MPEG
데이터
호스트
세션 계층
RPC, NetBIOS
데이터
호스트
전송 계층
TCP,UDP
세그먼트
L4 스위치
네트워크 계층
IP, ICMP
패킷
라우터
데이터링크 계층
HDLC, PPP
프레임
브리지, 스위치
물리 계층
RS-232C
비트
허브, 리피터
개념
  • 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
  • ISO에서 네트워크 통신에서 일어나는 과정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표준화 한 모델
  • 각 계층 별로 역할을 수행하여 다른 계층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 (독립적으로 구성)
 
물리 계층
  • 가장 아래에 위치한 계층
  • LAN, 케이블 등과 같은 물리적은 매체를 통해 Bit Stream을 전송
  • 단순히 데이터를 전송만 하기때문에 데이터에 문제가 발생해도 알 수 없음
데이터 링크 계층
  • 데이터의 시작과 끝 부분에 제어 정보를 추가하여 에러를 확인하고 제어
  • Mac 주소를 할당하여 네트워크 장비 식별
네트워크 계층
  • Switching(데이터 전송) 기능과 Routing(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적의 경로 결정) 기능 제공
  • 라우터가 최적의 경로를 탐색하여 패킷 전송
  • 패킷 순서를 보장하지 않고 전송
전송 계층
  •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담당
    • 목적지까지 에러 제어, 흐름 제어 등 수행
  • 수신지와 목적지를 확인하면서 전체 데이터가 오류 없이 순서대로 도착하는 것 보장
세션 계층
  • 사용자의 논리적인 연결 서비스 제공
  • 파일을 전송하던 중에 전송이 중단되어 이어서 전송해야하는 경우, 데이터를 동기화하고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역할
표현 계층
  • 데이터를 변환, 인코딩, 압축, 암호화, 복호화 등 수행하여 응용 계층이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로 가공
응용 계층
  •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는 응용 서비스 제공
  • 웹 브라우저, FTP 등
 

OSI 7 Layer, TCP/IP 처럼 프로토콜을 계층화하는 이유가 뭘까요?

  • 네트워크 통신을 이해하고 설계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
  • 프로토콜을 계층화하면 네트워크 통신의 복잡성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
 
  • 2개의 모델이 존재하는 이유는?
    • OSI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의 표준화와 교육을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개념
    • TCP/IP 모델은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진화한 개념으로 보다 실용적인 요구에 맞춰 설계됨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캡슐화와 비캡슐화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캡슐화
  • 데이터가 전송 될 때, 상위 계층 데이터에 각종 정보를 추가하여 하위 계층으로 보내는 기법
  • 전달 방향은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응용 → 물리)
  • 캡슐화를 하는 이유는?
    • 정보은닉으로 높은 보안성 유지 가능
    • 서로 다른 프로토콜 간의 데이터 전송 가능
  • 캡슐화 과정
    • 애플리케이션 계층 → 전송 계층 : 세그먼트/데이터그램화되며, TCP 헤더 붙여짐
    • 전송 계층 → 인터넷 계층 : 패킷화 되며, IP 헤더가 붙여짐
    • 인터넷 계층 → 링크 계층 : 프레임화가 되며, 프레임 헤더와 프레임 트레일러 붙여짐
 
비캡슐화(역캡슐화)
  • 데이터가 전송될 때, 각 계층에서 추가된 헤더와 트레일러를 제거하는 과정
  • 전달 방향은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물리 → 응용)
  • 비캡슐화를 하는 이유는?
    • 수신자는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 할 수 있음
  • 비캡슐화 과정
    • 캡슐화 과정의 반대
    •  

NIC와 리피터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NIC (Network Interface Card)
  • 데이터링크 계층의 네트워크 장비
  •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하여 가장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컴퓨터 내에 설치되는 장치
  • MAC 주소를 가지고 있어 네트워크에서 고유 식별됨
    • MAC 주소 : NIC에 할당된 고유한 식별자
    •  
리피터
  • 물리계층의 네트워크 장비
  • 디지털 신호를 증폭시켜 신호가 약해지지 않고 컴퓨터로 수신되도록 하는 장비
  • 데이터의 내용과 형식을 변경하지 않음
 

브리지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데이터 링크 계층의 네트워크 장비
  • 2개의 근거리 통신망(LAN)을 서로 연결해주는 통신망 연결 장치
  • 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 프레임을 필터링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데이터 전달
  • 네트워크의 충돌 도메인을 분리하여 성능 향상
 

L2 스위치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데이터 링크 계층의 네트워크 장비
  • 느린 전송속도의 브리지,허브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탄생
    • 브리지와 유사하지만 더 많은 포트 지원, 더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 제공
  • 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 프레임 빠르게 전달
  • 수신한 프레임의 목적지 MAC 주소를 확인하고 해당 포트로만 프레임을 전송하여 네트워크의 효율성 높임
 

라우터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네트워크 계층의 네트워크 장비
  •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가상, 물리적 디바이스
  •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을 분석하고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데이터 전달
  • NAT, DHCP, 방화벽 기능 지원
 

L3 스위치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네트워크 계층의 네트워크 장비
  •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 전달
  • L2 스위치 기능에 더해 라우팅 기능 제공 (라우터와 경계 모호)
  • VLAN 간의 트래픽 관리
  • 고속 데이터 전송과 라우팅 기능 결합하여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으로 작동
 

L7 스위치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네트워크 장비
  • 트래픽 분석,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패킷 분배, 필터링
  • HTTP, FTP 등의 프로토콜을 이해하고 처리
  • 로드 밸런싱, SSL 종료 기능
  • 복잡한 트래픽 관리 가능하여 웹 서버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최적화
 

LAN과 WAN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개념
  • 거리에 따라 네트워크를 분류한 통신망
 
LAN (local area network)
  • 근거리(로컬) 영역 네트워크
  • 비교적 짧은 거리에서 컴퓨터를 연결하여 데이터 공유
  • 사무실 건물, 학교, 병원 등
  • 개인이 소유 및 관리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 LAN과 비슷하지만 무선으로 디바이스간의 연결
 
WAN (wide area network)
  • 광역 네트워크
  • 지역 간 또는 대륙 간 등 넓은 지역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데이터 공유
  • “인터넷”은 가장 큰 WAN
  • 집합적 또는 분산적 소유권 모델로 관리
  • 라우팅 알고리즘 필요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 대도시 네트워크
  • LAN < MAN < WAN
  • 도시, 정부 기관에서 소유 및 관리
 
PAN (personal area network)
  • 개인 네트워크
  • iPhone ↔ Mac 을 연결하여 데이터 공유
 
VPN (virtual area network)
  • 가상 사설망
  • 2개의 네트워크 엔드포인트를 연결하는 안전한 지점 간의 연결
  • 사용자의 신원, 액세스 자격 증명 등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를 해커가 액세스할 수 없도록 암호화 채널 설정
 
 

written by salmonavocado🥑
 
Share article

salmonavoca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