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공사 안전관리계획서, 왜 중요할까요?

토목안전관리계획서,안전관리계획,건진법,건설기술진흥법
으뜸 빈팀장's avatar
Apr 16, 2025
토목공사 안전관리계획서, 왜 중요할까요?

🔍 안전관리계획서, 왜 중요할까요?

‘안전관리계획서’는 단순한 착공 전 체크리스트가 아닙니다.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라 법적으로 작성이 의무화된 공사가 있으며,
제출하지 않거나, 잘못 제출하면 검토기관 반려 → 공사 지연 → 행정처분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 2024년 최신 법령 기준 – 수립 대상 총정리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98조 제1항』(2024.1.1 시행 기준)

✅ 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안전관리계획서 수립 대상'입니다:

  1. 1종 시설물 및 2종 시설물의 건설공사
    →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7조제1호 및 제2호에 해당

  2. 지하 10m 이상 굴착 공사

  3. 폭발물 사용으로 주변에 영향이 예상되는 공사
    → 예: 반경 20m 내 시설물 / 100m 내 가축 사육 등

  4. 10층 이상 16층 미만의 건축물 공사

  5. 10층 이상 건축물의 리모델링 또는 해체공사

  6. 수직증축형 리모델링 공사
    → 『주택법』 제2조제25호다목 해당

  7. 건설기계 사용 공사
    → 국토부 등록된 건설기계 포함 (높이 10미터 이상 천공기, 항타항발기, 타워크레인 등)

  8. 가설구조물을 사용하는 공사

    • 비계: 31m 이상 또는 브라켓 비계

    • 거푸집: 5m 이상

    • 동바리: 5m 이상

    • 지보공: 터널지보공, 2m 이상 흙막이

    • 가설구조물: 작업발판, 워크플랫폼, FCM, MSS 등

    • 기타: 발주처나 인허가기관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공사

  9. 그 외 인허가기관 또는 발주처가 필요하다고 인정한 공사

※ 참고: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98조 제1항【이미지 기준】


🛠 으뜸안전기술은 이렇게 해결합니다

1. 정확한 판단부터 시작합니다

  • “작성 안 해도 되는 공사인데도 괜히 썼다” → 불필요한 비용 낭비 방지

  • 도면, 공사 개요 기반으로 법령 기준에 맞는지 명확히 판단

2. 빠르고 확실한 납품

  • 평균 납기 5~7일, 급할 경우 긴급 대응 가능

  • CSI 등록, 책자 제본, 제출용 가이드까지 완패키지 제공

3. 조건부 적정 → 보완 → 최종 적정까지 책임 대응

  • 조건부 판정이 나와도 걱정 No!

  • 98% 이상 조건부 적정 이상 평가율 보유​

4. 소규모 공사도 OK

  • 10억~20억 공사 범위에서 요구되는 간이 안전관리계획서

  • 1~2일 내 작성도 가능, 다수 수행 실적 보유​


📞 이 공사, 대상인지 지금 확인해보세요

도면과 공사 개요만 보내주시면,
‘대상인지 아닌지’ 무료로 확인해드립니다.

  • 이메일: help@edsafety.co.kr

  • 전화 상담: 031-429-0479

  • 카카오톡 채널: ‘으뜸안전기술

실착공이 임박하셨나요?
→ 빠른 판단과 작성이 필요한 공사도, 바로 도와드립니다.


마무리하며 – 가장 위험한 건 “대상 여부를 모르는 것”

안전관리계획서는 단순한 제출 서류가 아닙니다.
착공 허가 요건이자, 공사의 첫 단추입니다.
확실하게 판단하고, 실수 없이 준비하세요.

으뜸안전기술은 ‘알아서가 아닌, 확실하게’ 판단합니다.

Share article
Subscribe to our newsletter.

정부공인 안전진단전문기관 으뜸안전기술(주) 031-429-0479 help@edsafet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