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기간 적정성 검토 단 7분이면 끝! 발주자가 꼭 알아야 할 절차와 비용
👷 이런 상황, 겪어보셨나요?
“공사기간 적정성 검토… 진행주체는 발주자인데, 왜 설계자가 맡고 있지?”
“보고서 비용은 천차만별, 심의 참석도 해주는 거 맞나요?”
“심의 일정까지 맞추려니 일정이 너무 빠듯하네요…”
공사 착공 전에 거쳐야 하는 법적 의무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누가, 어떻게, 어디까지 준비해야 하는지 헷갈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연간 수십 건의 공사기간 적정성 검토를 수행해온
으뜸안전기술 빈팀장이 핵심만 정리해드립니다.
📌 공사기간 적정성 검토, 왜 필요한가요?
건설기술진흥법 제45조의2 및 동법 시행령 제17조의3에 따라,
**총공사비 100억 원 이상(지방자치단체는 50억 원 이상)**인 공공 건설공사는
공사기간이 타당한지에 대한 검토와 심의를 거쳐야 합니다.
검토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공사의 품질과 안전성 확보
무리한 공기 단축은 부실 시공과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발주자와 시공사의 입장 차이 조율
시공사는 충분한 공기를, 발주자는 빠른 준공을 원하죠.
적정성 검토는 이 간극을 과학적으로 조정하는 제도입니다.
🧾 누가 진행 주체인가요?
진행 주체는 '발주자'입니다.
단, 실무에서는 설계자와 계약하여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 작업은 설계사무소에서 저희와 함께 수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따라서, 설계사무소 입장에서 발주자를 대신해 업무를 맡고 있다면
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전문기관과의 협업이 중요합니다.
🛠️ 으뜸안전기술은 이렇게 진행합니다
도면 확인부터 공정표 작성, 보고서 작성, 심의 대응까지 원스톱
건설기술심의회 출석 및 발표자료 준비 대행
심의 일정에 맞춘 일정 조율 및 보완 대응까지 전담 처리
전국 지자체 심의 참석 경험 多 → 강원도, 제주도 등 상급기관 심의도 다수 대응
💸 비용은 얼마나 드나요?
기본 비용: 약 600만 원부터 시작
(공사 규모, 위치, 제출 기한에 따라 변동)
“600만 원은 비싼가요?”
아닙니다. 심의 참석 없이 보고서만 ‘딱’ 납품하는 업체와는
결과물의 깊이와 리스크 대응력이 다릅니다.
반면, 비정상적으로 저렴한 업체는
보고서만 넘기고 심의 대응은 책임지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소요 기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구분 | 기간 |
---|---|
보고서·공정표 작성 | 평균 2~3주 |
심의 준비 및 대응 | 심의 일정에 따라 2주~2개월 |
예) 2024.12 OO설계사무소 요청
“OO일까지 가능한가요?”
→ 으뜸안전기술은 보고서부터 발표자료까지 2주 내 마무리해드렸습니다.
📚 심의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① VE심의 종료 이후 → 적정성 검토 보고서 작성
② 건설기술심의 신청
→ 해당 지자체에 심의위원회가 없는 경우, 상급기관에서 진행
예: 강릉시의 경우, 강원도 심의위원회에서 심의 진행
💡 상급기관 심의는 더 까다롭기 때문에
처음부터 보고서 완성도와 질의응답 준비가 매우 중요합니다.
📋 최근 납품 사례
공사명 | 설계사무소 | 계약일 |
---|---|---|
OO지역 체육센터 건립공사 | ㈜OO건축사사무소 | 2025.1 |
OO시 스마트물류창고 조성사업 | OO엔지니어링 | 2024.11 |
제주도 OO고등학교 교실증축 | OO건축사사무소 | 2024.12 |
서울시 OO구 체육센터 위탁개발 | OO건축 | 2024.1 |
OO대학교 AI융복합관 개선 | ㈜OO건축사사무소 | 2024.11 |
☎️ 지금 문의하세요
공사기간 적정성 검토가 필요한데,
어디서부터 시작할지 모르겠다면?
심의일정이 급박한데 시간이 없다면?
으뜸안전기술이 직접 해결해드립니다.
📞 031-429-0479
📩 help@edsafety.co.kr
📍 공식 홈페이지 바로가기
공사기간 적정성 검토는 단순한 행정절차가 아니라
공사의 안정성과 예산 효율, 발주자의 리스크 관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지금 준비하지 않으면, 심의일정에 발목 잡힐 수 있습니다.
으뜸안전기술과 함께라면, 걱정 없이 착공 일정까지 책임집니다.